
청와대 앞서 투쟁계획 발표
사실상 ‘정부와 전쟁’ 선포
촛불정부 탄생 1등공신 인식
요구 거부당하자 보복파업
“눈치보는 공권력이 횡포 키워”
시민들 “공감못해” 잇단 비판
김명환 민주노총 위원장의 구속으로 대정부 투쟁에 나선 민주노총이 24일 “오는 11월 사회적 총파업을 실시하겠다”면서 줄 파업을 예고했다. 현 정부 출범 이후 지속해서 이른바 ‘촛불 청구서’를 내밀었던 민주노총이 자신들의 요구사항이 받아들여지지 않자 보복 파업으로 맞서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에 대해 시민들은 “법과 질서를 수호해야 할 공권력을 비롯해 정치권 역시 눈치만 살폈다”면서 “민주노총에 휘둘리는 정부·여당이 법치주의 근간을 흔드는 횡포를 키웠다”고 지적했다.
민주노총은 이날 오전 청와대 사랑채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세부 투쟁 계획을 발표했다. 민주노총은 “먼저 전면적이고 대대적인 투쟁을 비상한 결의로 조직하겠다”면서 “위원장 구속 상황에 걸맞게 일상 사업을 최소화하고, 모든 역량을 투쟁 조직에 집중할 수 있는 비상체제를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노총은 “모든 지역조직과 가맹 산별 조직들은 전국에서 개최하는 모든 집회와 투쟁에 노동탄압 분쇄 요구를 걸고 싸울 것”이라면서 “정부가 선언한 노정관계 파국에 따라 기존 노정관계를 전면 재검토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민주노총에 따르면 대정부 투쟁은 11월까지 지속할 전망이다. 민주노총은 오는 26일 울산 전국노동자 대회를 시작으로 27일 ‘최저임금 1만 원 쟁취, 노동탄압 분쇄 민주노총 결의대회’, 28일 전국 단위사업장 대표자 결의대회를 예고했다. 7월 3일부터 공공부문 비정규노동자 총파업 전국노동자대회를 열고, 이어 보름 뒤인 18일에는 문재인 정부 노동탄압 규탄 총파업 대회를 개최한다. 민주노총 관계자는 “7월 총파업보다 더 큰 규모의 대대적인 총파업을 11월에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노총의 강한 반발에는 현 정부 탄생의 일등공신이 자신들이라는 인식이 깔려 있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민주노총은 브레이크 없는 불법 과격시위를 거듭했다. 지난 3월 노동법 개악 저지 집회에서 국회 담장을 무너뜨렸고, 지난 5월에는 현대중공업의 물적분할 반대를 주장하며 경찰을 폭행하고 주총장을 무단 점거했다.
시민들은 민주노총의 투쟁 계획에 대해 “공감할 수 없다”거나 “서민을 대변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정보기술(IT) 중소기업에 재직 중인 조모(26) 씨는 “민주노총의 투쟁 목적에 공감할 수 없다”며 “모든 노동자를 위한다고 말은 하지만 특히 청년 취업준비생들은 외면한 채 노조 이익을 위한 기득권만 키우고 있는 듯하다”고 비판했다.
같은 노동계 단체인 한국노총 측 관계자는 “양대 노조는 국민 전반의 이익을 목적으로 활동하고 결과를 낼 의무가 있다”며 “민주노총은 자신들만의 이익을 위해 투쟁하는 것 같다”고 지적했다.
김성훈·서종민·최지영 기자 powerkimsh@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