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옹진군 해역의 바닷모래(해사·海沙) 채취를 둘러싼 지역 어민과 골재업체 간의 갈등이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한 채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문화일보 5월 24일자 13면 참조)

한국골재협회 인천지회에 따르면 24일 세종시 정부종합청사 앞에서 이곳 지회 소속 15개 업체와 경인레미콘협동조합 등 13개 관련 단체 회원 300여 명이 바닷모래 채취를 허가해 줄 것을 촉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이들은 2017년 12월 국무조정실 주재로 해양수산부와 국토교통부가 협의한 ‘골재수급안정화대책’의 일환으로 오는 2023년까지 인천 옹진군 해역에서 1785만㎥의 바닷모래를 채취할 수 있지만 어민 반대를 이유로 1년 넘게 채취 활동에 필요한 행정 절차를 이행하지 않고 있다고 주장했다. 해사 채취를 위한 ‘해역이용평가서’를 4차례 보완했지만 어민 동의를 전제로 해수부가 최종 채취 허가를 미루고 있기 때문이다. 이곳 해역 6개 어촌계는 어획량 감소와 산란장 파괴, 해안가 모래유실 등이 우려된다며 해사 채취를 강하게 반대하고 있다.

어민 반대로 해사 채취가 중단되면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이곳에서 공급된 바닷모래는 ‘0’에 가깝다. 사정이 이렇다 보니 인천지역 해사 채취 업체 15곳 모두 폐업 위기에 몰렸다. 이미 이들 업체 중 상당수는 90% 이상 구조조정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들은 이날 집회에서 해사 채취가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문가 토론회 등 공론화 장을 가질 것을 제안했다.

인천=지건태 기자 jus216@munhwa.com
지건태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