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전시간 길어 정차공간 부족
전기차 보급 적고 수익도 낮아
정부가 주유소 내 전기차 충전기 설치 기준을 대폭 완화한 지 약 3년이 됐지만, 충전기 설치 대수는 거의 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한국주유소협회에 따르면 전국 주유소 약 1만2000곳 중에서 전기차 충전기가 설치돼 사용할 수 있는 곳은 59곳에 불과하다. 서울에서는 GS칼텍스가 지난 5월 본격 운영을 발표한 7곳을 포함한 주유소 총 8곳이 전기차 충전기를 운영 중이다. 부산은 8곳, 경기 7곳, 경북 10곳, 전남 6곳 등이다. 상표별로는 SK에너지가 27곳, GS칼텍스 14곳, 현대오일뱅크 7곳, 에쓰오일 6곳이다. 최근 SK에너지와 현대오일뱅크도 잇따라 주유소 내 전기차 충전기 설치를 발표했지만, 각각 목표 설치 개수가 전국 15곳, 10곳 수준에 불과하다. 에쓰오일은 사업 진출 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유소 충전기 설치가 더딘 주된 이유는 충전 수요가 많지 않아 운영해도 수익성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지난 6월 말 기준 전기차 등록 대수는 7만2814대로, 전체 2344만4165대의 0.3% 수준에 불과하다. 충전 요금도 지나치게 저렴해 수익성이 거의 없다는 게 주유소 업자들의 우려다. 주유소 업계 관계자는 “전기차 한 대를 완충해도 주유소에 돌아오는 수익은 1000원대”라며 “전기차 이용자 입장에서도 편한 장소를 두고 주유소를 찾을 이유가 없다”고 설명했다.
충전기를 설치할 정도로 충분한 공간을 가진 주유소도 많지 않은 것도 한몫했다. 정유업체 관계자는 “전기차 충전에는 통상 20∼30분 정도가 소요되기 때문에 정차 공간 확보가 필수”라며 “이 같은 공간을 가지고 있는 주유소가 생각보다 많지 않다”고 말했다.
권도경 기자 kwon@munhwa.com
전기차 보급 적고 수익도 낮아
정부가 주유소 내 전기차 충전기 설치 기준을 대폭 완화한 지 약 3년이 됐지만, 충전기 설치 대수는 거의 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한국주유소협회에 따르면 전국 주유소 약 1만2000곳 중에서 전기차 충전기가 설치돼 사용할 수 있는 곳은 59곳에 불과하다. 서울에서는 GS칼텍스가 지난 5월 본격 운영을 발표한 7곳을 포함한 주유소 총 8곳이 전기차 충전기를 운영 중이다. 부산은 8곳, 경기 7곳, 경북 10곳, 전남 6곳 등이다. 상표별로는 SK에너지가 27곳, GS칼텍스 14곳, 현대오일뱅크 7곳, 에쓰오일 6곳이다. 최근 SK에너지와 현대오일뱅크도 잇따라 주유소 내 전기차 충전기 설치를 발표했지만, 각각 목표 설치 개수가 전국 15곳, 10곳 수준에 불과하다. 에쓰오일은 사업 진출 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주유소 충전기 설치가 더딘 주된 이유는 충전 수요가 많지 않아 운영해도 수익성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지난 6월 말 기준 전기차 등록 대수는 7만2814대로, 전체 2344만4165대의 0.3% 수준에 불과하다. 충전 요금도 지나치게 저렴해 수익성이 거의 없다는 게 주유소 업자들의 우려다. 주유소 업계 관계자는 “전기차 한 대를 완충해도 주유소에 돌아오는 수익은 1000원대”라며 “전기차 이용자 입장에서도 편한 장소를 두고 주유소를 찾을 이유가 없다”고 설명했다.
충전기를 설치할 정도로 충분한 공간을 가진 주유소도 많지 않은 것도 한몫했다. 정유업체 관계자는 “전기차 충전에는 통상 20∼30분 정도가 소요되기 때문에 정차 공간 확보가 필수”라며 “이 같은 공간을 가지고 있는 주유소가 생각보다 많지 않다”고 말했다.
권도경 기자 kwon@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