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5일 방문한 독일 카이저슬라우테른 스마트팩토리에서 명함집이 만들어져 나오는 모습. 해당 스마트팩토리는 ‘랩스 네트워크 인더스트리 4.0(LNI 4.0·Labs Network Industrie 4.0)’과 업무협약(MOU)을 맺은 회원사 중 하나다.
지난달 25일 방문한 독일 카이저슬라우테른 스마트팩토리에서 명함집이 만들어져 나오는 모습. 해당 스마트팩토리는 ‘랩스 네트워크 인더스트리 4.0(LNI 4.0·Labs Network Industrie 4.0)’과 업무협약(MOU)을 맺은 회원사 중 하나다.

- ⑤ 독일 4차 산업혁명 정책

AI·빅데이터 등 제조업 접목
정부, 2011년후 강력 드라이브
기업·연구소 등 민간도 발맞춰

중기 디지털화 돕는 LNI 4.0
기술표준화 담당하는 SCI 4.0
제조업 혁명 양 날개로 ‘조화’


2차 산업혁명의 주역으로 전통 제조업의 강자였던 독일은 지금 정부를 주도로 한 ‘제조업 혁신’의 바람이 불고 있다.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제조업에 접목하는 제조업의 ‘디지털화’를 최종 종착지로 정부와 함께 대기업·중소기업은 물론 전 산업과 관련 협회, 연구기관에 이르기까지 모든 경제주체가 보조를 맞춰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지난달 24일부터 4일에 걸쳐 찾은 독일에서는 국가 주도로 제조업에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5세대(G)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시켜 생산과정을 최적화하는 ‘인더스트리 4.0(Industrie 4.0)’ 개념을 천명, 이를 중심으로 전 국가적인 디지털화가 진행되고 있다. 인더스트리 4.0은 지난 2011년 도입된 개념으로 전 세계가 4차 산업혁명 물결에 올라타면서 독일도 국가 차원에서 이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자 만들어졌다. 독일이 2차 산업혁명을 주도해 전통 제조업에서는 강국이었지만 4차 산업혁명의 물살에 뒤처질 수 있다는 위기의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능동적 주체가 돼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해보자는 정부와 민간의 의지가 반영됐다.

인더스트리 4.0은 주제별로 6개의 워킹그룹으로 이뤄져 있으며, 기업과 학교, 연구기관 관계자 등 총 400여 명이 참가하고 있다. 여기서 정부의 역할은 워킹그룹에서 나오는 여러 아이디어의 정책적 반영이나 디지털화를 위한 규제 완화 등 이를 적극 뒷받침하는 것이다. 최근 독일에서 제조업의 디지털화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었던 것도 이러한 정부 주도의 전 국가적인 플랫폼이 주효했다. 뢰벤 수석 엔지니어는 “이는 하나의 ‘사업소’로, 독일이 4차 산업혁명으로 나아가기 위해 추구하는 프로세스를 매니지먼트하는 곳이다. 정부는 디지털화라는 방향성을 토대로 다양한 경제주체들이 이 안에서 뛰어놀 수 있도록 그 장(場)을 만들어 주고 국가 간 상호 협력이 필요한 부분에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인더스트리 4.0이 개념적 플랫폼으로 중심축을 이루고 있다면 양 날개로는 기술 표준화를 담당하는 기구인 ‘표준화위원회 인더스트리 4.0(SCI 4.0·Standardization Council Industrie 4.0)’과 중소 제조기업의 디지털화를 돕는 ‘랩스 네트워크 인더스트리 4.0(LNI 4.0·Labs Network Industrie 4.0)’ 등 실무 기구를 둬 독일 4차 산업혁명 정책의 ‘삼각 축’을 구축하고 있다.

독일 = 글·사진 이은지 기자 eun@munhwa.com

※ ‘인공지능 최전선’ 시리즈 기사의 뒷이야기와 자료집, 독자 토론방 등은 네이버 블로그(https://blog.naver.com/neutrino2020)와 페이스북(www.facebook.com/nokija111)에 게재됩니다.
이은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