텍사스州 파운드리 법인 유력
업계 “日 횡포에 방어막 될 것”
삼성 “장기적 관점서 검토가능”
일본발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가 ‘악화일로’를 걷는 상황에서 삼성전자가 미국 현지 생산 라인 확대를 중장기적인 대응 옵션 중 하나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22일 알려졌다. 이번 한·일 무역전쟁을 계기로 소재 및 부품 공급처 다변화와 함께 일본의 ‘몽니’에서 비교적 자유로울 수 있는 ‘안전지대’를 추가로 확보한다는 구상으로 풀이된다.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달 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한을 계기로 미국 현지 투자에 대해 점검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방한 기간 미국에 대한 투자를 거듭 당부하기도 했는데, 이에 따른 옵션을 검토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 시점에서 ‘미국 투자설’이 다시 거론되는 데는 일본의 수출 제재가 장기화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피신처’를 마련해야 한다는 위기의식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일본이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미국 내 현지 법인까지 건드리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미국 현지 공장을 건설할 경우 이 같은 일본의 횡포에 방어막이 될 수 있지 않겠냐”고 말했다.
삼성전자가 미국에 추가적인 투자를 할 경우 가장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는 곳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법인이 있는 텍사스주 오스틴이다. 또 지난해 준공한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세탁기 공장에 이어 가전 생산 라인을 추가로 건설할 가능성도 나온다.
하지만, 현재 급박한 상황인 데다 경기 화성에 짓고 있는 극자외선(EUV) 라인이 내년부터 본격적인 가동을 앞두고 있어 단기간에 결정을 내리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경기 평택에도 공장의 추가적인 건설을 검토하고 있는 상황에서 당장 파운드리 라인을 늘린다고 해도 미국은 후순위가 될 가능성이 높다”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옵션 중 하나로 검토될 수는 있지만 현재로서는 소재 확보를 통한 생산 라인 가동 차질을 최소화하는 데 집중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은지 기자 eun@munhwa.com
업계 “日 횡포에 방어막 될 것”
삼성 “장기적 관점서 검토가능”
일본발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가 ‘악화일로’를 걷는 상황에서 삼성전자가 미국 현지 생산 라인 확대를 중장기적인 대응 옵션 중 하나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22일 알려졌다. 이번 한·일 무역전쟁을 계기로 소재 및 부품 공급처 다변화와 함께 일본의 ‘몽니’에서 비교적 자유로울 수 있는 ‘안전지대’를 추가로 확보한다는 구상으로 풀이된다.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달 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방한을 계기로 미국 현지 투자에 대해 점검한 것으로 전해졌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방한 기간 미국에 대한 투자를 거듭 당부하기도 했는데, 이에 따른 옵션을 검토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이 시점에서 ‘미국 투자설’이 다시 거론되는 데는 일본의 수출 제재가 장기화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상황에서 ‘피신처’를 마련해야 한다는 위기의식이 크게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일본이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미국 내 현지 법인까지 건드리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며 “미국 현지 공장을 건설할 경우 이 같은 일본의 횡포에 방어막이 될 수 있지 않겠냐”고 말했다.
삼성전자가 미국에 추가적인 투자를 할 경우 가장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는 곳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법인이 있는 텍사스주 오스틴이다. 또 지난해 준공한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세탁기 공장에 이어 가전 생산 라인을 추가로 건설할 가능성도 나온다.
하지만, 현재 급박한 상황인 데다 경기 화성에 짓고 있는 극자외선(EUV) 라인이 내년부터 본격적인 가동을 앞두고 있어 단기간에 결정을 내리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경기 평택에도 공장의 추가적인 건설을 검토하고 있는 상황에서 당장 파운드리 라인을 늘린다고 해도 미국은 후순위가 될 가능성이 높다”며 “장기적인 관점에서 옵션 중 하나로 검토될 수는 있지만 현재로서는 소재 확보를 통한 생산 라인 가동 차질을 최소화하는 데 집중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은지 기자 eun@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