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동비 주며 원천징수 안해
예산 전용해 워크숍 열기도
서울시 감사서 23건 지적


서울시가 ‘50플러스 세대’의 일과 배움, 복지정책 실현을 목표로 운영 중인 서울시50플러스재단에 대해 설립 이후 실시한 첫 특정 감사에서 허술하고 미숙한 운영이 다수 적발됐다고 밝혔다. 50플러스 세대란 근로 욕구와 의지가 강한 50~64세의 중장년층을 이르는 말이다. 시는 이들의 인생 재설계와 취·창업 정보 제공, 일자리 발굴 등을 추진하기 위해 지난 2016년 출자출연기관으로 재단을 설립했다.

20일 서울시 감사위원회가 공개한 ‘서울시50플러스재단 특정감사 결과’ 자료에 따르면 재단의 사업추진 및 관리·운영 등 업무 전반에 대해 감사한 결과 23건의 지적 사항을 적발, 업무 관련자 1명을 징계하고 4006만 원을 환수·환급 조치했다. 이번 감사에서는 재단 운영 과정에서 예산 편성 및 집행, 각종 세금 부과 등과 관련해 업무 미숙으로 인한 예산회계분야의 문제점이 다수 지적됐다.

특히 재단에서 운영 중인 50플러스 캠퍼스 3곳과 센터 1곳 등 총 4곳에서 2016~2018년 보람일자리 사업 활동가 8026명에게 38억4235만 원 상당의 활동비를 지급하며 소득세 원천징수를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람일자리는 센터에서 개인별로 필요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그 경력을 바탕으로 급여를 받을 수 있는 일자리를 제공하는 사업이다.

재단은 직원 워크숍에 활용할 수 없는 예산으로 워크숍을 열거나, 업무추진비로 지출할 다과비·식비를 행사·홍보비에서 지출하기도 했다. 업무 관련성이 없는 캘리그래피 수강료 27만 원을 ‘개인 직무역량 강화를 위한 외부교육’이라는 명목으로 지출하기도 했다.

재단 관계자는 “서울시50플러스재단 설립 과정에서 내부에 진용과 체계를 갖췄더라면 시행착오와 미숙함을 줄였을 것”이라며, “감사를 통해 지적된 사항은 모두 조치를 마쳤고 관련 규정과 내부 업무 프로세스를 다잡는 계기가 됐다”고 말했다.

이후민 기자 potato@munhwa.com
이후민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