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경제동향 6개월째 “부진”
해외 IB, 韓성장률 줄줄이 하향


정부가 최근 우리 경제에 관해 “수출과 투자의 부진한 흐름이 지속 중”이라고 판단했다. 정부가 ‘부진’이라는 표현을 지난 4월부터 6개월 연속 사용했다. 이는 2005년 3월 최근 경제동향 발행을 시작한 뒤 가장 긴 연속 부진에 속한다.

기획재정부는 20일 ‘최근 경제동향(그린북)’(2019년 9월)을 통해 “우리 경제는 생산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수출과 투자의 부진한 흐름이 지속하고 있다”고 밝혔다. 다만 부진 판단 범위는 월마다 다소 다르다. 4∼5월호에서는 ‘광공업 생산, 설비투자, 수출 등 주요 실물지표’ 흐름이 그 대상이었지만 6∼9월호에서는 ‘수출과 투자’에 국한해 부진하다고 했다.

기재부는 “대외적으로는 글로벌 제조업 경기 등 세계 경제 성장세 둔화 및 반도체 업황 부진이 지속하는 가운데,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조치 및 미·중 무역갈등 외에도 최근 사우디아라비아 원유시설 피격에 따른 지정학적 위험(리스크) 부각 등 불확실성이 확대하고 있다”며 “일본 수출규제 대응 등 리스크 관리에 전력을 기울여 재정집행을 가속하고, 하반기 경제활력 보강 추가대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는 등 정책역량을 총동원해 투자·내수·수출 활성화를 적극적으로 뒷받침하겠다”고 강조했다.

한국 경제가 장기간 경기침체를 지속하면서 하반기 들어 해외 투자은행(IB)들이 올해 성장률을 줄줄이 하향 조정하고 있다. 19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중간 경제전망’(OECD Interim Economic Outlook) 보고서에서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2.1%로 수정 전망했다. 이는 지난 5월 발표한 경제전망 때 제시한 2.4%보다 0.3%포인트 하향 조정한 것이다. 최근 노무라·씨티(각 1.8%), 골드만삭스·JP모건·UBS(각 1.9%)도 한국의 올해 경제성장률을 1%대 전망을 했다. IB들은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 한·일 관계 교착 등 대외여건 속에 민간 수요 부진으로 경기 하방 위험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박민철 기자 mindom@munhwa.com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