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 제조업 육성책 관련 업체

중국 정부가 알리바바 등 주요 기업 100곳에 정부 관료들을 대거 파견하기로 하면서 기업의 핵심 정보 유출 우려가 커지고 있다.

25일 로이터통신과 CNBC 방송 등에 따르면, 중국 저장(浙江)성 항저우(杭州)시는 최근 항저우에 본사를 둔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와 지리(吉利)자동차, 대형 생수·음료업체 와하하(娃哈哈) 등 100대 기업에 관료들을 파견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저장성은 중국 정부가 추진하는 첨단 제조업 육성책 ‘중국 제조 2025’ 전략과 관련된 대기업들이 몰려 있는 곳이다. 항저우시 당국은 ‘정부 사무대표’ 자격으로 파견되는 관료들이 기업의 각종 민원 해결에 도움을 주는 업무에 집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로이터통신은 “중국 정부가 항저우시의 이번 계획을 ‘혁신적 경제 전략’이라고 강조하고 있지만, 민간기업에 대한 정부 관료 파견은 정부의 영향력 증대 문제와 함께 보안 문제에 대한 우려를 키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 관료가 기업에 민감한 정보 제출을 요구할 경우 거절하기가 쉽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중국 내에서는 민간기업에 파견된 정부 관료가 부당한 경영 간섭을 할 수 있다는 논란도 일고 있다. 저장신원(浙江新聞)은 논평에서 “정부가 뻗친 손이 너무 길어질 것을 우려하는 이들이 있다”며 “기업의 경영에 쉽게 간섭하는 부작용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알리바바 측은 성명을 내 “정부 파견 대표는 민간 분야 섹터와 정부 간 가교 역할을 하고 회사 운영에 간섭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베이징 = 김충남 특파원 utopian21@munhwa.com
김충남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