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 협력주행 시연
車·기지국·보행자와 네트워킹
일반도로서 핵심기술 선보여


LG유플러스는 10일 서울 강서구 마곡동 LG사이언스파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5G-V2X(차량·사물 간 통신) 기반의 일반도로 자율협력주행 기술을 선보였다. 올해 한양대 ACE Lab(자동차전자제어연구실)과 세계 최초로 선보인 LG유플러스의 자율주행 기술이 다수의 차량 간에 서로 통신하며 달리는 자율 ‘협력’ 주행으로 발전한 것이다.

LG유플러스에 따르면, 5G-V2X를 탑재한 상용차(제네시스 G80)가 자율주행으로 통제되지 않은 일반도로를 달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특히 이번 시연은 출시를 앞둔 LG전자의 5G-V2X 통신단말과 마곡 일대에 구축된 LG유플러스 5G 통신망 및 자율협력주행 플랫폼(관제센터·다이나믹 맵·정밀 측위)으로 완성도를 높였다. 5G-V2X는 5세대(G) 기반의 차량 무선통신으로, 차량과 사물이 서로 정보를 교환하는 기술이다. 차량 대 차량, 차량 대 기지국, 차량 대 보행자, 차량 대 네트워크 등을 포함한다.

이날 자율주행차는 LG사이언스파크 일대 일반도로 1.7㎞ 구간을 15분간 주행하며 6가지 핵심기술을 선보였다. 그간 업계에서는 레이더, 레이저를 이용하는 라이다(LiDAR) 등 차량 센서 기반의 자율주행 기술 시연만 진행하거나 5G-V2X 기반의 셔틀버스 솔루션만 공개해왔다. LG유플러스는 이날 실증에 대해 “단순 자율주행 기술을 넘어 자율주행차-스마트폰-스쿨버스-보행자-구급차 등이 실시간으로 연결된 미래 스마트 교통환경을 구현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고 설명했다. 또 가까운 미래에는 운전자가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으로 자율주행차를 탑승지점으로 원격호출해 이동시킬 수 있다면서, 관련 기술도 시연장에서 함께 선보였다. 최주식 LG유플러스 기업부문장(부사장)은 “이동통신 기반의 모빌리티 사업은 주변 차량·사물과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단계까지 이르렀다”고 말했다.

이해완 기자 parasa@munhwa.com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