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색케이블카 등 줄줄이 좌절
송전탑 강행은 이중잣대” 목소리
강원도의 주요 사업이 환경부의 반대로 잇따라 발목을 잡히면서 이를 성토하는 지역 주민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도는 환경부가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설치(지주 6개)를 위한 환경영향평가에는 부동의한 반면, 영월·평창·정선·홍천·횡성군 등 도내 5개 지역을 관통하는 260개 송전탑 설치 계획에 별다른 문제를 제기하지 않은 것은 전형적인 ‘이중잣대’라며 비난의 수위를 높이고 있다.
양양지역 사회단체로 구성된 ‘친환경 설악산 오색케이블카추진위원회’는 10일 오전 10시 양양군 남대천 둔치에서 ‘환경부 규탄 범 강원도민 궐기대회’를 개최했다. 양양군민은 물론, 도내 18개 시·군 관계자를 비롯해 백두대간 송전탑 설치에 반대하는 선로 통과 예정지 주민 등 1만여 명이 참가했다고 추진위는 밝혔다.
추진위는 이날 환경부 규탄 결의문을 통해 “양양군민의 꿈과 희망을 짓밟은 정부와 환경부를 강력히 규탄하며 친환경 설악산 오색케이블카가 설치되는 그 날까지 끝까지 투쟁할 것을 선포한다”고 밝혔다. 또한, 산림훼손과 환경파괴가 발생하는 동해안~경기 신가평 송전탑 송전선로 사업 반대와 횡성 상수원 보호구역 해제도 촉구했다. 추진위는 ‘환경부는 죽었다’며 상여를 앞세운 시가행진을 했다.
도민들이 이날 대규모 집회를 연 것은 지역 현안이 줄줄이 환경부의 반대로 좌초되거나 지연되고 있기 때문이다. 도는 오색케이블카 외에도 화천 산촌형 소득 주택을 비롯해 춘천 레고랜드 호텔 층수 제한, 원주·횡성 상수원 보호구역 해제 협의 지연, 한강수계 2단계 수질오염 총량제 논란 등 환경부가 7개 사업에서 과도하거나 자의적인 기준을 적용해 지역 발전의 발목을 잡고 있다고 주장한다.
강원도청 관계자는 “강원도를 관통하는 대규모 송전탑 건설이 정작 주민은 전혀 모르게 진행되고 있다”며 “세워지는 철탑이 260여 개인데 이는 환경부가 반대하는 케이블카를 1000여 개나 설치한 것과 같다”고 말했다.
양양 = 이성현 기자 sunny@munhwa.com
송전탑 강행은 이중잣대” 목소리
강원도의 주요 사업이 환경부의 반대로 잇따라 발목을 잡히면서 이를 성토하는 지역 주민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도는 환경부가 설악산 오색케이블카 설치(지주 6개)를 위한 환경영향평가에는 부동의한 반면, 영월·평창·정선·홍천·횡성군 등 도내 5개 지역을 관통하는 260개 송전탑 설치 계획에 별다른 문제를 제기하지 않은 것은 전형적인 ‘이중잣대’라며 비난의 수위를 높이고 있다.
양양지역 사회단체로 구성된 ‘친환경 설악산 오색케이블카추진위원회’는 10일 오전 10시 양양군 남대천 둔치에서 ‘환경부 규탄 범 강원도민 궐기대회’를 개최했다. 양양군민은 물론, 도내 18개 시·군 관계자를 비롯해 백두대간 송전탑 설치에 반대하는 선로 통과 예정지 주민 등 1만여 명이 참가했다고 추진위는 밝혔다.
추진위는 이날 환경부 규탄 결의문을 통해 “양양군민의 꿈과 희망을 짓밟은 정부와 환경부를 강력히 규탄하며 친환경 설악산 오색케이블카가 설치되는 그 날까지 끝까지 투쟁할 것을 선포한다”고 밝혔다. 또한, 산림훼손과 환경파괴가 발생하는 동해안~경기 신가평 송전탑 송전선로 사업 반대와 횡성 상수원 보호구역 해제도 촉구했다. 추진위는 ‘환경부는 죽었다’며 상여를 앞세운 시가행진을 했다.
도민들이 이날 대규모 집회를 연 것은 지역 현안이 줄줄이 환경부의 반대로 좌초되거나 지연되고 있기 때문이다. 도는 오색케이블카 외에도 화천 산촌형 소득 주택을 비롯해 춘천 레고랜드 호텔 층수 제한, 원주·횡성 상수원 보호구역 해제 협의 지연, 한강수계 2단계 수질오염 총량제 논란 등 환경부가 7개 사업에서 과도하거나 자의적인 기준을 적용해 지역 발전의 발목을 잡고 있다고 주장한다.
강원도청 관계자는 “강원도를 관통하는 대규모 송전탑 건설이 정작 주민은 전혀 모르게 진행되고 있다”며 “세워지는 철탑이 260여 개인데 이는 환경부가 반대하는 케이블카를 1000여 개나 설치한 것과 같다”고 말했다.
양양 = 이성현 기자 sunny@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