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상무부서 ‘中 인권 탄압’ 명분
28곳 수출거래 제한하자 반격


중국 정부가 미국이 중국 정보기술(IT) 기업들을 수출 거래를 제한하는 ‘블랙리스트’에 올린 데 대해 대응 조치에 나서겠다고 경고했다. 미·중이 무역협상에서 ‘부분 합의’ 타결을 했지만 무역 외 분야에서 힘겨루기가 지속되고 있는 양상이다.

23일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 공업정보화부 황리빈(黃利斌) 정보통신 운행감측협조국장 겸 대변인은 전날 국무원 신문판공실 주관으로 열린 기자회견에서 “미국 상무부가 지난 7일 발표한 블랙리스트에 관해 중국의 권리와 이익을 지키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미 상무부는 감시카메라 업체 하이크비전을 비롯한 28개 중국 기관 및 기업에 대해 위구르족 등 무슬림 소수민족에 가해지는 중국 당국의 인권 탄압을 이유로 블랙리스트에 추가했다. 블랙리스트에 오른 기업은 미국 정부의 허가 없이 미국산 부품을 구매할 수 없게 돼 생산과 경영에 타격을 받게 된다. 황 대변인은 “미국의 일방적인 블랙리스트가 중국의 과학기술 발전의 토대를 훼손하지는 못할 것”이라고 반박했다. 그는 이어 “중국이 문을 닫은 채 맹목적으로 자국의 기술에만 의존하지 않고 해외 산업 발전과 디커플링(단절)도 추구하지 않을 것”이라며 “통신, 인터넷, 자동차 부문을 외자에 더욱 개방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은 ‘중국 제조 2025’를 내세워 항공우주, 로봇, 반도체, 인공지능(AI) 등 10가지 전략 분야에서 산업 고도화를 추진해왔다. 미국은 이런 중국의 정책이 조직적인 지식재산권 및 기업비밀 절취라고 비판해왔다. 중국은 미국이 무역협상에서 주장하는 기술 이전 강요에 대해서도 반발했다. 화춘잉(華春瑩)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미국은 중국이 미국 기업의 활동을 간섭하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미국이 자국법을 근거로 외국 기업과 개인에게 단독 제재를 가하는 것이야말로 미국이 가지고 있는 ‘지식재산권’(전매특허)”이라며 “우리는 이런 지식재산권에 대해 반대하고, 훔칠 생각도 없다”고 비판했다.

베이징=김충남 특파원 utopian21@munhwa.com
김충남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