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방청, 동일기종 2대 운용중
독도 인근 해상에서 31일 추락한 소방청 중앙119구조본부 소속 다목적 소방헬기 모델은 프랑스 에어버스 헬리콥터스(구 유로콥터)사가 제작한 ‘EC225’(사진)다. 소방청은 사고 헬기를 2016년 3월 도입했다. 앞서 2009년 5월에도 같은 기종을 도입해 소방청은 총 30대의 헬기 중 이 기종을 2대 운용 중이다. 소방청은 이 헬기를 대당 400여억 원을 들여 도입했다. 탑승 인원이 최대 28명인 이 헬기는 한 번에 4000ℓ의 물을 담고 최대 시속 250㎞로 5시간 정도 비행할 수 있다. 야간 비행 장비, 적외선 탐색 장비, 이중 자동 비행장치, 산불 진화 장비 등이 갖춰져 있으며 주·야간, 악천후에도 기동한다. 사고 헬기는 도입 이후 지난 6월까지 응급 이송, 산불 진화, 각종 훈련 등 690차례 운항했다고 소방청이 밝혔다.
사고 헬기는 2016년 4월 노르웨이에서 추락해 14명이 사망한 적이 있는 헬기와 같은 기종으로 알려졌다. 당시 추락사고 조사 결과 ‘주기어 박스’ 중 일부 부품의 결함이 확인돼 육군은 이 부품이 장착된 국산 수리온(KUH-1) 기동헬기 운항을 중지하고 부품을 교체한 바 있다. 주기어 박스는 헬기의 엔진과 로터(Rotor·날개 회전 담당) 시스템을 연결하는 동적 구성품으로 제작사는 프랑스 에어버스 헬리콥터스다.
포항 = 박천학 기자 kobbla@munhwa.com
관련기사
-
환자수송 헬기 독도 해상 추락… 탑승했던 7명 전원 실종 상태
-
“이륙 2분만에 비스듬히 날다 추락”…수심 72m에 침몰 추정
-
[속보]수색 당국 “추락 소방헬기 동체 추정 물체 찾았다”
-
해경 “실종자 추정 시신 1구 발견돼 확인 중”
-
수중 72m서 잠수사 영상녹화장비로 추락 헬기 확인
-
“추락 헬기 동체 온전한 형태 아냐…실종자 추정 시신 1구 발견”
-
독도 추락 헬기 수중 수색 재개…청해진함 무인잠수정 투입
-
해경 “무인잠수정, 실종자 수습 가능…추락헬기 수중수색 집중”
-
‘독도 추락헬기’ 수중수색 집중…무인잠수정, 실종자 수습 시도
-
수색 당국 “독도 헬기 추락 현장서 시신 3구 발견”
-
“아들아, 아들아” 오열…헬기 추락 현장서 실종자 가족 눈물바다
-
“헬기 동체·꼬리 110m 떨어져…꼬리서 2구·동체서 1구 발견”
-
독도해역 추락 헬기 탑승자 마지막까지 탈출 시도했다
-
독도추락 소방헬기 ‘물에 뜨는 안전장치’ 작동 안한 듯
-
헬기 추락 나흘째 수색 재개…실종자 4명 구조·동체 인양 총력
-
‘독도 추락헬기’ 탑승자 시신 2구 울릉도로 옮겨져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