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서정(오른쪽) 아동문학 평론가와 김남중 동화작가가 2020 문화일보 신춘문예 동화 부문 응모작에 관한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 김호웅 기자
김서정(오른쪽) 아동문학 평론가와 김남중 동화작가가 2020 문화일보 신춘문예 동화 부문 응모작에 관한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 김호웅 기자
- 동화 심사평

‘우리 아이들은 지금 어떻게 살고 있나요?’

쌓여 있는 응모작들을 다 읽고 떠오른 질문이다. 작가는 렌즈와 같아 남다른 색과 배율을 가져야 서로 다른 상을 맺을 텐데 이번 응모작들은 바람직하지 않게 유사한 작품이 많았다. 반복되는 소재에 비슷한 등장인물이 예상되는 갈등 끝에 교훈적인 결말을 맺는 이야기들. 담론의 크기가 작품성과 비례하지는 않지만 우리 사회에 만연한 갈등과 고통과 소통 부재에 대해 더 크고 치열하게 고민하는 작품이 아쉬웠다.

본심에 올릴 작품은 다행히 찾을 수 있었다. ‘괴상한 불청객’은 못되게 구는 슬기에게 경찰과 망태할아버지와 호랑이 등, 놀라운 존재들이 찾아오는 과정이 재미있었지만 놀란 슬기가 착해지는 결말이 너무 쉬워서 이야기가 힘을 잃었다.

‘여우잡기놀이’에서는 아이들이 놀이로 친구에게 여우탈을 씌워 괴롭히는데 탈을 다른 아이에게 넘길수록 점점 괴롭힘이 심해진다. 나중에는 탈이 얼굴에 찰싹 달라붙으며 뗄 수 없는 상징이 된다. 인간 본성의 어두운 부분과 군중심리를 잘 표현하다가 마지막에 진짜 여우가 등장하면서 이야기의 무게가 분산됐다.

‘할아버지의 마트료시카’는 인생과 죽음의 의미를 담은 판타지 동화였다. 손녀에게 유품으로 남긴 마트료시카 속에서 등장하는 할아버지의 여러 모습을 만나며 유진이는 할아버지를 더 깊이 이해하게 된다. 마법의 표현이 자연스럽고 죽음에 대한 의미부여가 깊어진다면 더 멋진 작품이 될 것이다.

당선작 ‘벽 하나’에서 수놓기를 좋아하는 남자애, 사람보다 화분을 좋아하는 빌라 옆집 할아버지는 가족에게 이해와 사랑을 받지 못해 외롭다가 서로 벽을 두드려 대화하는 사이가 된다. 며칠째 대답이 없어 방으로 찾아간 남자애는 죽음 직전의 할아버지를 병원에 입원시키지만 너무 늦었다. 가난과 고정관념과 외로움과 다툼과 죽음이 차례대로 등장하는데 ‘콩, 콩’ 벽을 두드려 소통하는 소리만으로도 희망과 온기를 전달한다. 마지막 문장은 이 시대의 아픈 아이들과 어른들을 향한 위로이자 심사 초반의 우려에 대한 대답이기도 했다.

“나름 최선을 다하고 있단다. 그러니 너무 뭐라고 하지 마라.”

오랜만에 마음을 울리는 목소리를 들었다. 당선자에게 축하와 감사를 전한다.

심사위원 김서정·김남중

관련기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