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눈높이 맞는 책 많지 않아
주제·도서선정 주관 개입 불보듯


서울시교육청이 올해부터 사회현안과 연계한 ‘논쟁형 독서 토론수업’을 활성화하겠다고 나섰다. ‘인헌고 사태’를 계기로 사회현안 교육을 강화하는 취지지만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등 정치 성향이 강한 교사들의 주관이 개입돼 오히려 ‘편향적 교육’으로 흐를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은 2일 신년기자회견을 열고 ‘2020년 서울교육 핵심 정책’ 을 발표했다. 발표된 정책에는 교육계 내에서 찬반논쟁이 벌어지고 있는 정책들도 포함됐다. 우선 교육청은 “사회현안 논쟁형 독서토론수업을 의욕적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사회 현안을 깊이 이해할 수 있는 책을 선정하고 비판적 독서와 논쟁적 토론을 거쳐 학생이 자신만의 관점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겠다는 목적을 내세웠다. 교육현장에서는 “정치적 중립이 지켜지지 않는 환경에서는 시기상조”라는 우려가 나온다. 박호철 서울시교원단체총연합회 대변인은 “주제 선정, 도서 선정에 교사의 주관이 개입될 수밖에 없다”며 “어떤 주제는 일방적 내용을 담은 책밖에 없어 편향적 독서로 흐를 수 있다”고 비판했다. 교육청 관계자는 “사회현안을 고른 관점에서 학생 눈높이에 맞게 설명할 수 있는 서적이 많지 않은 건 사실”이라며 “가이드라인을 만들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교육청은 현재 전교조가 ‘일제고사의 부활’이라며 강력 반대하고 있는 기초진단 평가 의무화도 예정대로 진행하기로 했다. 초3, 중1이 대상이다. 전국 단위의 학업성취도평가가 문재인 정부 들어 전수조사에서 ‘표본 조사’로 바뀌면서 학생 개개인의 기초학력 진단이 제대로 되지 않아 기초학력 미달 학생이 늘고 있다는 비판에 따른 조치다. 조 교육감은 “기초학력은 사회적 삶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최소한의 학력”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시교육청은 애초 방침과 달리 전교조 등의 비판을 고려해 일정 조건을 만족할 경우 학교 개별 평가 방식도 허용키로 해 기초진단 평가 의무화의 취지가 퇴색된 것 아니냐는 논란도 일 전망이다. 이외에도 올해 교육청은 ‘중1 자유학년제’를 전면 실시한다. 1년 동안 학생들이 다양한 참여형 수업과 체험활동에 집중할 수 있도록 중간·기말고사를 보지 않는 것이다. 하지만 일각에선 ‘무(無)시험’이 오히려 학원 수요를 높여 사교육을 얼마나 받느냐에 따라 학생별 학력 차이가 급격히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윤정아 기자 jayoon@munhwa.com
윤정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