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 금리영향 보고서
저축 늘고 소비 줄어든 때문


인구 고령화가 지난 20여 년 동안 실질금리를 3%포인트 떨어뜨린 것으로 분석됐다. 향후 인구 고령화가 더 진전되면 이로 인해 실질금리가 지금보다 더 떨어질 것이란 전망도 제기됐다.

13일 한국은행의 BOK 경제연구에 실린 ‘인구 고령화가 실질 금리에 미치는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20∼64세 대비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1995년 9.6%에서 2015년 19.4%로 오르면서 실질금리가 1995년에서 2018년까지 23년간 3%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분석됐다. 실질금리란 자금을 빌리는 기업이나 개인이 부담하는 실질적인 금리부담을 말하는 것으로, 명목금리에서 인플레이션율을 뺀 금리 수준을 의미한다.

권오익·김명현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부연구위원은 보고서를 통해 “인구 고령화로 은퇴 이후 생존 기간이 늘어나 저축이 늘고 소비는 감소한 결과”라며 “고령화 효과가 한국의 실질금리 하락을 상당 부분 설명할 수 있다”고 밝혔다.

실질금리는 1995년 9.0%에서 2018년 0.4% 안팎으로 8.6%포인트 하락했다. 실질금리 하락의 3분의 1이 고령화 여파로 추정되는 셈이다. 일반적으로 저축률이 높아지면 금리가 낮아지는 데다, 저출산에 청년 인구가 줄면 경제의 기초체력인 잠재성장률이 낮아져 금리도 떨어지게 된다. 금리는 장기적으로는 잠재성장률 추세와 함께 움직이기 때문이다.

유회경 기자 yoology@munhwa.com
유회경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