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코리아, 졸업예정자 605명 대상 조사
올해 국내 대학 졸업 예정자 중 11.6%만이 졸업 전에 정규직 취업에 성공한 것으로 조사됐다.
잡코리아는 올해 국내 4년제 대학의 졸업 예정자 605명을 대상으로 ‘취업 현황’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처럼 파악됐다고 26일 밝혔다. 취업 성공 여부와 관련, ‘정규직으로 취업했다’는 답변이 11.6%, ‘비정규직으로 취업했다’는 졸업예정자는 13.2%였다. 나머지 대다수인 72.9%는 ‘아직 취업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다만 이는 지난해보다는 늘어난 수준이다. 2월 기준으로 졸업 전 정규직 취업자 비율은 지난해 동일조사 대비 소폭 증가했다. 지난해 동일조사 결과 정규직 취업자는 11.0%였고, 비정규직 취업자는 10.0%였다.
올해 조사에서 전공계열별로는 이공계열 전공자들의 정규직 취업률이 14.8%로 가장 높았다. 반면 인문계열은 정규직 취업률이 7.3%에 그쳐 이공계열과 2배가량으로 차이를 보였다.
정규직·비정규직 취업에 성공한 졸업예정자들은 중소기업(32.7%)에 가장 많이 취업했고, 대기업(22.7%), 중견기업(22.0%) 순이었다.
한편, 정규직 취업에 성공한 졸업예정자 중 64.3%가 ‘상반기에 신입직 구직활동을 계속하는 중’이라고 답했다. 이는 만족스럽지 못한 직장에 취업함에 따라 대기업 및 공기업 등에 다시 도전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세부적으로 정규직 취업자 중 30.0%는 ‘상반기 대기업 신입공채를 준비한다’고 답했다. 24.3%는 ‘공기업·공공기관 채용을 준비한다’고 답했다. 비정규직 취업자는 대다수(83.8%)가 ‘상반기에 신입직 구직활동을 하는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현진 기자
올해 국내 대학 졸업 예정자 중 11.6%만이 졸업 전에 정규직 취업에 성공한 것으로 조사됐다.
잡코리아는 올해 국내 4년제 대학의 졸업 예정자 605명을 대상으로 ‘취업 현황’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처럼 파악됐다고 26일 밝혔다. 취업 성공 여부와 관련, ‘정규직으로 취업했다’는 답변이 11.6%, ‘비정규직으로 취업했다’는 졸업예정자는 13.2%였다. 나머지 대다수인 72.9%는 ‘아직 취업하지 못했다’고 답했다.
다만 이는 지난해보다는 늘어난 수준이다. 2월 기준으로 졸업 전 정규직 취업자 비율은 지난해 동일조사 대비 소폭 증가했다. 지난해 동일조사 결과 정규직 취업자는 11.0%였고, 비정규직 취업자는 10.0%였다.
올해 조사에서 전공계열별로는 이공계열 전공자들의 정규직 취업률이 14.8%로 가장 높았다. 반면 인문계열은 정규직 취업률이 7.3%에 그쳐 이공계열과 2배가량으로 차이를 보였다.
정규직·비정규직 취업에 성공한 졸업예정자들은 중소기업(32.7%)에 가장 많이 취업했고, 대기업(22.7%), 중견기업(22.0%) 순이었다.
한편, 정규직 취업에 성공한 졸업예정자 중 64.3%가 ‘상반기에 신입직 구직활동을 계속하는 중’이라고 답했다. 이는 만족스럽지 못한 직장에 취업함에 따라 대기업 및 공기업 등에 다시 도전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세부적으로 정규직 취업자 중 30.0%는 ‘상반기 대기업 신입공채를 준비한다’고 답했다. 24.3%는 ‘공기업·공공기관 채용을 준비한다’고 답했다. 비정규직 취업자는 대다수(83.8%)가 ‘상반기에 신입직 구직활동을 하는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유현진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