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 민원·과태료정보 분석
시간대별 맞춤 단속원 배치


서울 성동구는 간접흡연 피해 민원과 과태료 현황 등의 빅데이터를 분석해 금연정책을 수립, 스마트 금연환경 조성에 나선다고 3일 밝혔다. 구는 간접흡연 피해 민원과 과태료 부과 현황, 실외 금연구역, 교통시설물과 교육시설물, 유동인구 등 최근 3년간 누적된 자료를 분석했다. 지난해 3월 출범한 성동구 빅데이터 센터에서 자체 분석을 실시해 연구용역비 절감 효과를 거뒀다고 구는 설명했다.

구에 따르면 간접흡연 피해 민원처리는 2015년 128건에서 2018년 419건으로 약 3.3배로 증가했다. 같은 기간 금연구역 내 과태료 부과도 125건(1108만 원)에서 950건(9180만 원)으로 7.6배로 늘었다.

구는 이에 간접흡연 피해 민원과 과태료 단속 데이터, 유동인구, 일반음식점 데이터, 대중교통 관련 데이터 등을 활용해 이른바 흡연 핫스폿 지역과 시간대별 흡연집중지역을 도출했다. 그 결과 오전 6∼11시에는 왕십리역 주변과 신금호역 교차로 등이, 오전 11시∼오후 5시에는 성수역과 뚝섬역 인근이, 오후 5∼9시에는 한양대 인근 음식점 밀집지역 등이 집중흡연구역으로 조사됐다.

구는 이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시간대별 흡연 민원이 집중되는 지역에 금연단속원을 배치해 간접흡연 피해를 사전에 방지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성동구에는 총 6명의 금연단속원·지도원이 근무(사진)하고 있다. 구는 앞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어린이통학로 안전사업을 펼쳐 어린이 보행 중 교통사고를 약 38%(2017년 50건→2018년 31건) 감소시킨 바 있다.

최준영 기자 cjy324@munhwa.com
최준영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