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의학 전문가들뿐만 아니라 정부까지 나서서 사회적 거리 두기를 강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북교육청은 3일 오전 2층 대강당에서 300여 명이 모인 격월 직원 조회를 열었을 뿐만 아니라 김 교육감은 이 자리에도 마스크를 쓰지 않은 채 등장하는 등 ‘마스크 무용 논란’을 주도했다.
김 교육감이 이처럼 또다시 코로나19로 위기감이 팽배해진 사회적 분위기와 상반된 주장을 하며 관심을 끌기 시작한 것은 지난달 28일, 김 교육감이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린 “전북교육청 코로나19 대책본부에서 일하는 공직자들의 하루하루 삶은 긴장과 과로의 연속”이라는 글과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사진이다.
해당 글과 사진에 대해 한 시민은 “교육청에서 확진자가 나오면 전북 교육이 마비된다. 회식이나 소모임 자제를 부탁한다”는 댓글을 올렸다.
그러자 김 교육감은 “이 시기에 거의 모든 사람이 마스크를 써야 하는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나. 모든 사람을 잠재적 감염자로 봐야 하기 때문인가. 회식이나 소모임을 자제해 달라는 이유는 무엇인가”라고 답글을 달고 의사의 말을 인용해 “호흡기 상태가 안 좋은 사람들에게 마스크는 도리어 해롭다”라고 말했다. 이번 달 1일에는 “마스크를 사지 마라. 마스크는 코로나19를 막는 데 효과적이지 않다”는 내용을 담은 기사를 올리기도 했다.
김 교육감의 이 같은 페이스북 내용에 또 다른 시민은 “교육감 생각을 전 직원에게 강요해서는 안 된다. 교육청 직원들이 마스크 쓰는 게 눈치가 보인다고 한다”고 적었다.
이에 김 교육감은 “교육청 직원들이 마스크를 쓰지 못하게 하는 상황이라는 것이 팩트인가, 이 댓글을 바로 캡처했다”고 답해 B 씨가 압박감을 느꼈다는 등의 공방이 이어졌다.
이에 대해 전북 교육청 한 관계자는 “민간에서 ‘코로나19’나 ‘마스크 쓰기’로 경직된 분위기를 가질 필요는 없다고 하더라도 공공기관인 도 교육청은 보수적인 기준을 적용해 마스크 착용을 권장하든지 심각 단계의 정부 방침에 동조하는 게 타당한데 (김 교육감이) 돌출 행동을 서슴치 않고 있다”고 말했다.
전북도교육청은 “직원들은 각자의 자율성에 따라 마스크 착용 여부를 사용하는 것이 공식적인 교육청 입장이다”며 “절대 사용하지 말 것 등의 개인의사를 강요하는 일은 없다”고 밝혔다.
전주=박팔령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