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장관 해명 무색하게
선진국 속속 입국제한 돌입
美도 금지조치 단행 가능성


세계 12위 경제 대국인 한국의 10대 수출국가 중 미국을 제외한 9개 국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입을 막기 위해 한국에 빗장을 걸어 잠근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 대한 입국금지·제한 조치를 취한 나라는 102개 국가에 달해 유엔 가입국(193개)의 절반을 넘어섰다. 특히 일본과 호주 등 선진국까지 빗장을 걸고 있어 “스스로 방역 능력이 없는 나라들이 입국 금지라는 투박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고 한 강경화 외교부 장관의 발언이 허언이었음이 드러나고 있다.

6일 외교부 공식 집계에 따르면 한국발 입국자에 대해 입국 제한 조치를 취한 국가는 총 102개국이다. 37개 국가는 한국발 모든 입국자에 대해 입국금지 조치를 취하고 있고, 대구 등 한국 일부 지역 방문자에 대해 입국금지 조치를 취한 나라는 6개국이다. 2019년 기준 한국의 10대 수출국 가운데는 미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가 입국 제한 조치를 취하고 있다. 홍콩·싱가포르·말레이시아·일본은 한국 전역 또는 일부 지역 방문자에 대해 입국 금지 조치를 취했다. 중국과 베트남은 격리 조치를, 대만·인도·멕시코는 검역 강화 및 각종 제한조치를 취했다.

입국 제한은 방역 체계를 제대로 갖추지 못한 국가들의 조치라는 강 장관의 해명과 달리, 선진국들도 한국에 빗장을 걸어 닫고 있다. 특히 안보 협력 국가인 일본·호주·뉴질랜드 등도 입국 제한 조치에 돌입했다.

강력한 동맹국인 미국은 주한미군 등 군사대비태세 유지 필요성, 광범위한 인적·물적 교류 등을 고려해 아직 우리에 대한 입국 금지 조치를 취하고 있진 않지만, 미국의 향후 제한 조치 가능성에 대해서도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국에 대해 최고 단계의 여행 경보를 발령한 미국은 지금도 입국 제한 조치만 없을 뿐 미국행 항공기 탑승자 전원에 대해 탑승 전 발열 검사를 의무화하는 등 까다로운 절차를 시행하고 있다. 미국 일부 대학과 직장에서는 개별적 자가격리를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는 이날 오후 강 장관이 주재하는 주한 외교단 상대 코로나19 대응 설명회를 열어 입국 제한 조치 자제를 요청하기로 했다. 하지만 지난달 25일 김건 외교부 차관보가 주재한 첫 설명회 이후에도 입국 제한 조치가 늘고 있어 한국 외교력에 대한 의구심이 일고 있다.

손고운 기자 songon11@munhwa.com

관련기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