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대응 경제장관회의
고용지원 5000억으로 증액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피해를 입은 수출입·해외진출 기업에 총 20조 원의 금융 지원을 하기로 했다. 고용유지지원금은 1000억 원에서 5000억 원으로 늘리고, 외환건전성부담금 한시 면제 등을 통해 외화유동성 공급을 촉진할 방침이다.
정부는 25일 서울청사에서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코로나19 대응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위기관리대책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코로나19 피해 수출입·해외진출 기업 긴급 금융지원 방안’ 등을 확정, 발표했다.
그동안 수출입은행과 거래를 해온 국내 기업의 경우 앞으로 6개월 안에 만기가 돌아오는 11조3000억 원(877개사)의 대출 만기가 최대 1년 연장되고, 2조 원의 신규 자금이 지원된다. 수출입·해외진출 기업에 대해 2조5000억 원 규모의 보증이 제공된다.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수출입은행의 기존 거래기업을 대상으로 2조 원 규모의 긴급 경영자금 프로그램이 신설되고, 코로나19로 피해를 봤거나 혁신성장 또는 소재·부품·장비 분야 대기업을 대상으로 2조 원(기업별 과거 수출실적의 80%)이 지원된다.
정부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전체 업종에서 신청이 급증하고 있는 고용유지지원금 규모를 1000억 원에서 5000억 원으로 늘리고, 지원 수준도 오는 4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한시적으로 대폭 상향할 예정이다. 홍 부총리는 “민간의 외화조달을 지원하기 위해 외환건전성부담금 한시 면제 등의 방안을 이번 주 내에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해동·박수진 기자
고용지원 5000억으로 증액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피해를 입은 수출입·해외진출 기업에 총 20조 원의 금융 지원을 하기로 했다. 고용유지지원금은 1000억 원에서 5000억 원으로 늘리고, 외환건전성부담금 한시 면제 등을 통해 외화유동성 공급을 촉진할 방침이다.
정부는 25일 서울청사에서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코로나19 대응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위기관리대책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코로나19 피해 수출입·해외진출 기업 긴급 금융지원 방안’ 등을 확정, 발표했다.
그동안 수출입은행과 거래를 해온 국내 기업의 경우 앞으로 6개월 안에 만기가 돌아오는 11조3000억 원(877개사)의 대출 만기가 최대 1년 연장되고, 2조 원의 신규 자금이 지원된다. 수출입·해외진출 기업에 대해 2조5000억 원 규모의 보증이 제공된다. 코로나19로 피해를 입은 수출입은행의 기존 거래기업을 대상으로 2조 원 규모의 긴급 경영자금 프로그램이 신설되고, 코로나19로 피해를 봤거나 혁신성장 또는 소재·부품·장비 분야 대기업을 대상으로 2조 원(기업별 과거 수출실적의 80%)이 지원된다.
정부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전체 업종에서 신청이 급증하고 있는 고용유지지원금 규모를 1000억 원에서 5000억 원으로 늘리고, 지원 수준도 오는 4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 한시적으로 대폭 상향할 예정이다. 홍 부총리는 “민간의 외화조달을 지원하기 위해 외환건전성부담금 한시 면제 등의 방안을 이번 주 내에 발표할 것”이라고 말했다.
조해동·박수진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