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체유권자 190만 이상 늘고
3040 비중은 35.1%로 감소
베이비붐 세대 고령층 진입에
‘고령=보수표’공식 변화 주목
21대 국회의원 총선거에서는 역대 총선과 대통령선거 중 처음으로 60세 이상 유권자 비중이 4분의 1을 넘을 것으로 전망된다. 고령층이 선거 결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커질 수 있다. 하지만 꾸준한 고령층 증가에도 불구하고 2016년 20대 총선, 2017년 19대 대선에서 모두 보수 정당이 패했다는 점에서 과거처럼 ‘고령층=보수 일변도’라는 공식은 성립하지 않는다는 분석도 나온다.
◇60세 이상 증가, 30·40대 감소 = 25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월 말 현재 만 18세 이상 주민등록인구는 4395만9787명이다. 선거인 명부 작성 기준일(3월 24일)과 3주가량 차이가 나지만, 이번 총선의 대략적인 선거인수 추정이 가능하다. 이번 총선 선거인수는 20대 총선 선거인수(4205만6325명)보다 190만 명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60세 이상 유권자는 눈에 띄게 증가한다. 2월 기준 60대는 638만5073명으로, 4년 전 선거인수(520만1858명)보다 118만 명 정도 많다. 70세 이상은 2016년 463만5608명이었는데, 올 2월에는 552만6774명으로 나타났다. 이번 총선 60세 이상 선거인수는 1191만1847명에 달해 20대 총선 당시(983만7466명)보다 200만 명 넘게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만 18세 이상 인구에서 60세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2월 말 현재 27.1%다. 이번 총선은 전국 단위 선거(외국인이 투표권을 행사할 수 있는 지방선거 제외)로는 처음으로 25%를 넘는다. 60세 이상 선거인수 비중은 2012년 18대 대선 20.8%, 2016년 20대 총선 23.4%, 2017년 19대 대선 24.4%로 꾸준히 증가했다. 8년 전에는 유권자 5명 중 1명이 60세 이상이었다면 지금은 4명 중 1명이 넘는다.
30대와 40대는 20대 총선 때보다 선거인 수가 감소한다. 2월 현재 40대는 839만7417명, 30대는 702만6850명이다. 지난 총선 당시 40대 선거인수는 884만3843명, 30대는 761만4800명이었다. 40대 선거인수 비중은 4년 전 21.0%였으나 이번에는 19.1% 정도로 내려가고, 30대 선거인수 비중은 18.1%에서 16.0% 수준으로 하락할 것으로 추정된다.
50대는 2월 현재 866만6798명으로 10세를 기준으로 나눈 연령대 중 가장 많다. 4년 전 선거인수(837만5862명)보다 29만 명 정도 늘어날 전망이다. 선거인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대 총선(19.9%) 때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만 18세가 새로 유권자에 포함되면서 18∼29세 선거인수는 증가한다. 18∼29세 인구는 2월 현재 795만6875명으로, 만 18세 이상 인구 중 18.1% 정도를 차지한다. 20대 총선 당시 19∼29세 선거인수(738만4354명)보다는 58만 명 이상 많다.
◇‘젊은 노인’ 표심의 향배는 = 고령층 증가는 선거에서 보수 정당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 일반적인 의견이다. 나이가 들수록 가치관이 보수화하는 경향을 ‘연령 효과’라고 한다. 그러나 문화일보가 엠브레인퍼블릭에 의뢰해 20∼21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1명을 상대로 진행한 여론조사에서 60세 이상의 지역구 후보 투표 의향은 미래통합당 39.2%, 더불어민주당 32.2%로 나타났다. 30대(민주당 48.6%, 통합당 8.8%)와 40대(민주당 52.2%, 통합당 14.4%)가 민주당에 쏠려 있는 것에 비해 보수 쏠림이 덜한 것이다. 젊은 시절 군부 독재와 민주화 운동을 경험한 60대 초중반의 베이비붐 세대가 좀 더 나이가 든 선배 세대보다 보수로 덜 쏠린 결과로 풀이된다.
최근 선거에서도 고령층 인구 증가가 보수 정당 승리로 연결되지는 않았다. 20대 총선 당시 60대 이상 선거인은 19대 총선보다 약 167만 명 증가했으나 새누리당이 패했고, 19대 대선에서는 60대 이상 선거인 비중이 높아졌으나 문재인 대통령이 당선됐다.
배종찬 인사이트케이 소장은 “인구 구성이 변화하면서 유권자의 이념 구분선의 연령대도 상향됐다고 보는 것이 맞는다”며 “인구 구성 변화가 정당 유불리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조성진·김현아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