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용기(사진) 더불어시민당 당선인은 29일 문화일보와의 인터뷰에서 “입법 과정에서 2030세대의 목소리를 많이 반영해 발전적인 사회를 만들고 싶다”며 이같이 밝혔다.
전 당선인은 한양대 에리카캠퍼스 총학생회장 출신으로, 2016년 경기도대학생협의회 의장을 맡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촛불집회 정국 당시 경기도 11개 대학 공동성명을 주도했다. 2017년 대통령 선거 때 문재인 캠프 대학생 운동본부장으로 당 활동을 시작했다. 21대 국회에서는 류호정 정의당 당선인과 함께 ‘유이’한 20대다. 전 당선인은 “강한 추진력을 바탕으로 바로바로 실행해내는 성격인 만큼 민생법안을 조속히 추진하고, 2030 청년 문제도 즉각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하겠다”면서 “이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 여파로 인한) 대학 등록금 문제도 정치권에서 좀 더 빠르게 대응했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고 말했다.
청년세대를 위한 법안 발의를 다수 준비 중인 전 당선인은 ‘다치면 느그(너희) 아들 방지법’을 제안했다. 그는 “군대에서 청년들이 다치면 피해 사실을 본인이 입증해야 하는데, 이런 입증 책임을 완화하고 국가에서 청년 장병들을 책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면서 “젊은층들은 흔히 ‘건강하면 국가의 아들, 다치면 느그 아들’이라고 한다. 이를 방지하는 법안을 꼭 만들고 싶다”고 말했다.
김수현 기자 salmon@munhwa.com
주요뉴스
시리즈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