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탓에 경영부실 고착화
정부 “구체적 지원요구 없었다”


고질적인 경영난을 겪고 있는 공기업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지금까지 경험하지 못한 경영위기에 내몰릴 처지다. 직고용·정규직 전환 등에 따른 고정비용 상승과 함께 코로나19로 달라진 영업환경에 따른 매출 감소가 일상화하며 구조적인 경영부실이 고착화될 우려가 크지만 재정당국은 이를 해결할 어떤 대책도 내놓지 않고 있다.

2일 각 공공기관 등에 따르면 주요 시장형 공기업들이 코로나19 사태 이후 달라진 경영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비상경영체제를 도입하고 있다. 인천국제공항공사나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일찌감치 비상경영을 선포하고 ‘마른 수건 짜기’식 긴축경영에 돌입했다.

공기업들은 코로나19 악영향이 한시적이라고 보지 않는다. ‘포스트 코로나19’ 이후 새로운 일상이 도래할 경우 매출의 급격한 감소가 불가피하다. 손병석 코레일 사장은 “코로나19 이후 매출을 시뮬레이션해본 결과 평소보다 최소 10% 이상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코레일의 경우 구조적으로 매년 3000억 원가량의 적자가 발생하는 공기업인데, 코로나19 이후 철도 이용 수요가 줄어들어 이 같은 매출 감소가 불가피하다는 설명이다.

코레일뿐만 아니라 다른 공기업들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이미 자회사 보안요원들의 직고용화로 몸살을 앓고 있는 인천공항도 올해 3200억 원 적자가 예상되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달라진 환경에 따른 매출 감소는 공기업들의 경영난으로 이어진다. 매출 감소에 고정비용에 해당하는 인건비 부담까지 하반기부터 본격화할 경우 적자 공기업들은 대폭 늘어날 수밖에 없다. 한 공기업 관계자는 “직고용 및 신규채용 확대뿐만 아니라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회사 재정투입을 압박받고 있는데 기획재정부는 어떤 조치도 취하고 있지 않다”고 불만을 털어놨다. 이에 대해 기재부 관계자는 “공기업의 어려움은 예상되지만 어떻게 지원해달라는 구체적인 요구는 없었다”며 “고민을 해봐야 할 문제”라고 답했다.

박정민 기자 bohe00@munhwa.com
박정민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