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7대책으로 수요억제 영향
강북권 재개발 예정지도 상승


6·17 부동산 대책이 역풍을 일으키면서 서울 중저가(2억~6억 원대) 주택가격마저 급등시키고 있다. 내 집 마련 수요자는 물론 투자자들이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영향을 받지 않는 재개발 추진지역과 중저가주택 밀집 지역으로 몰리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수요억제 중심의 정부 대책이 내 집 마련에 나선 젊은 층과 서민을 울리고 있는 셈이다.

2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6월 한 달 동안 고가아파트 밀집 지역인 강남·서초·송파·용산·양천구 등의 거래량이 소폭 증가한 반면 중저가 주택 밀집지역인 노원·도봉·구로·성북·관악·강북구 등의 아파트 거래량(전월 대비)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악구의 경우 5월 아파트 거래량이 165건에 그쳤으나 6월 310건으로 2배가량 증가했다.

노원구가 628건에서 1013건으로 늘었고, 도봉구도 290건에서 504건으로 증가했다. 성북구(5월 250건→6월 440건), 강북구(133→204건), 구로구(361→ 501건)등도 많이 거래됐다. 중저가주택 밀집지역은 거래량 증가와 가격도 급등 조짐을 보이고 있다. 노원구 상계동 상계주공3단지 전용면적 58㎡는 6·17대책 이전보다 2000만 원 올라 7억 원을 넘어섰다. 도봉구 창동 주공3단지 같은 면적 대도 6월 초보다 3000만 원 오르면서 6억 원 초반대에 호가 매물이 나왔다. 이들 지역은 6·17대책 이후 단독·다가구, 다세대·연립주택 가격도 급등했다.

김순환 기자 soon@munhwa.com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