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권 4년차 국정방향 제시
국회·野 적극적 협조 요청


집권 후반기에 접어든 문재인(얼굴) 대통령이 16일 21대 국회 개원 연설에 나서는 것은 후반기 강력한 국정 드라이브를 걸겠다는 의지를 피력하기 위한 것이라는 관측이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이 300석 의석 중 176석을 차지한 거여(巨與) 국회에서 국정 과제 입법화를 추진해 지금까지 성과를 못 낸 국정에서 실적을 올리겠다는 것이다. 문 대통령은 한국판 뉴딜 등 집권 4년 차를 맞아 야심 차게 꺼내 든 국정 운영 기조를 설명하는 한편, 악재가 겹쳐 하락세인 국정 운영 지지율을 반등시키는 계기로 삼겠다는 뜻도 엿보인다.

청와대는 국회 개원이 연기될 때마다 “문 대통령은 다음 달 초 국회 개원을 위한 개원 연설을 준비하고 있다”, “21대 국회가 갖는 의미는 더욱더 다르다고 생각한다. 이 국난 위기 앞에서 또 그동안 신뢰받는 국회의 필요성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개원 연설에 대한 의지를 내비치며 야당의 협조를 ‘요구’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도 공개회의 발언 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과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야당의 협조, 국회 차원의 지원을 강조했다. 이를 두고 미래통합당에서는 “야당을 압박하는 행태”라는 지적도 나왔다. 문 대통령은 개원 연설을 통해 집권 4년 차를 맞아 국정 운영의 큰 방향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국회와 야당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할 것으로 알려졌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전날(15일) “당초 지난 6월 29일쯤 국회에서 한국판 뉴딜 등의 개요를 먼저 설명하고, 국민보고대회를 할 계획이었습니다만 우여곡절 끝에 순서가 바뀌게 됐다”며 “문 대통령은 지금 개원연설문을 아홉 번째 고쳐 쓰고 계시는 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강 대변인은 “국회 임기 시작 48일 만, 1987년 헌법체제에서는 최장 지각 개원식이라는 언론 보도가 나오고 있는 상황이라 국회를 향할 문 대통령의 발걸음이 가벼울 수만은 없다”며 국회의 늑장 개원을 비판했다.

민병기 기자 mingming@munhwa.com

관련기사

민병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