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② 체제 선전·대남 비방 없는 北… 관련정보 철저 차단
③ 감염 의심자가 바다 건너 월북, 개성까지 무사통과?
④ 사전 징후·신고도 있었는데… 경찰, 뒷북대응 일관
북한이 최근 탈북자 김모(24) 씨의 월북 사건을 빌미로 ‘개성 봉쇄’ ‘평양 비상 방역’ 등 이례적인 초고강도 조치에 착수하면서 김 씨 월북을 둘러싸고 여러 가지 의문점이 제기되고 있다. 특히 김 씨는 남쪽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검사를 받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김 씨가 사전에 월북을 위한 답사 등을 하고, 주변에 월북 가능성을 언급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뒷북 대응 비판도 일고 있다. 군과 경찰은 북한이 김 씨의 월북 사실을 공개한 이후 신속하게 김 씨의 신원을 파악하고, 동선 파악에 나섰다.
27일 노동신문은 4면 전체에 걸쳐 6개의 기사와 사설을 집중 배치하며 전국에서 비상방역에 착수했다고 전했다. 북한이 신속한 방역을 강조하고 있지만 김 씨에 대해 취한 조치가 최근 코로나19 의심자에게 취했던 조치와 달라 여러 의문점을 낳고 있다. 대북 문제 전문가들은 김 씨의 월북에 대한 북한의 조치 등을 두고 크게 4가지 의문점을 제기했다.
우선 북한 당국이 지난 19일 귀향한 김 씨를 5일 만인 24일 의심증상으로 분류한 데 이어 개성을 전면 봉쇄하는 등의 빠른 대응 조치다. 한국은 코로나19 의심자에 대해 2주간의 격리 조치를 취하는 반면, 북한은 4주 정도 격리 조치를 취했고, 확진자가 없다는 입장을 반복했다. 확진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에서 북한의 조치는 상당히 이례적이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27일 “김 씨는 질병관리본부 전산시스템에 확진자로 등록돼 있지 않고, 접촉자 관리 명부에도 들어 있지 않다”며 “코로나19 의심환자인지 확인되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국책연구기관의 한 연구원은 “김 씨가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지 않은 상황에서 북한이 개성을 봉쇄한 것은, 있는 그대로 납득하기 어렵고 다른 의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월북한 탈북자에 대해서 기자회견 등의 방식으로 체제 선전에 활용했던 북한이 김 씨에 대해선 정보 자체를 차단하고 있는 것 또한 의문이다. 북한이 코로나19를 체제 선전에 활용했던 점을 감안하면 석연치 않은 부분이다. 특히 남측에서부터 코로나19 의심환자가 유입됐다고 주장하면서도 대남비방을 삼가는 것 또한 다른 정치적 목적으로 활용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서해 강화도에서 수영으로 바다를 건너 월북한 김 씨가 5일 만에 개성까지 들어가 지인과 만났다는 것도 의문점으로 남는다. 경찰은 김 씨의 지인들을 통해 그의 월북 징후를 사전에 파악했지만, 북한 보도가 나오기 전에는 관련 사실을 전혀 파악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철순 기자 csjeong1101@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