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관계자들이 6일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부동산 정책 수립과 관련한 고위공직자들의 부동산 보유 및 시세 상승 분석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김호웅 기자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 관계자들이 6일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부동산 정책 수립과 관련한 고위공직자들의 부동산 보유 및 시세 상승 분석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김호웅 기자
- 경실련 공직재산 분석

국토부·기재부 등 1급이상
총 147채…강남4구만 42채

김조원수석 ‘22억 매물’ 삭제


부동산·금융·세제 정책 등을 다루는 국토교통부, 기획재정부, 한국은행 등 주요 부처와 산하기관 1급 이상 공직자 107명의 부동산재산을 분석한 결과, 99명이 유주택자이며 이들이 보유한 총 147채의 주택 중 약 절반은 강남4구(강남·서초·송파·강동)를 비롯한 서울에 위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앞으로 시세 9억 원 이상 주택 매매와 관련해 자금 출처 의심 거래를 상시 조사한다는 방침을 세운 가운데 부동산 정책 관련 고위공무원 상당수가 시세 9억 원을 훌쩍 넘는 ‘알짜 지역’에 주택을 보유하고 있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6일 서울 종로구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부동산·금융·세제 정책 관련 부처 산하 1급 이상 공직자 107명의 부동산 재산은 1인 평균 12억 원”이라며 “국민 평균 3억 원의 4배”라고 밝혔다. 경실련 조사·분석에 따르면 올 3월 기준 107명의 관련 고위공무원 중 99명(92.5%)이 유주택자였으며, 다주택자는 39명(36.4%)이었다. 3주택 이상 보유자도 7명이었다. 또 107명 중 99명의 유주택 고위공직자가 보유한 총 147채 가운데 약 절반인 68채(46.3%)는 서울 내에 위치해 있었다. 이 가운데 42채(28.6%)는 강남4구에 있었다. 나머지 주택은 세종시(22채)와 수도권(26채), 기타 지역(31채) 등이었다.

한편 다주택 청와대 참모에 대한 주택 매각 권고에 따라 서울 송파구 잠실동 아파트를 매각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던 김조원 청와대 민정수석이 시세보다 2억 원가량 비싸게 매물을 내놓은 것으로 전해졌다. 김 수석이 내놓은 것으로 알려진 아파트 매물 정보는 주요 부동산 사이트에서 6일 오전까지는 검색됐지만 오전 9시쯤부터 삭제됐다.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은 7월 말까지 다주택 상태를 해소하라고 강력히 권고했지만 김 수석을 포함 8명은 여전히 다주택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윤도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8월 말까지 모두 매각을 완료한 뒤 매매계약서를 제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성훈·민병기 기자

관련기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