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인·참고인 마구잡이 소환
재계 “코로나 비상 경영인데
‘총수 소환 정치쇼’ 자제해야”
여야가 21대 국회 첫 국정감사를 앞두고 5대 그룹 총수 등 기업인들을 증인으로 줄줄이 신청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경제 위기와 ‘기업규제 3법’(상법·공정거래법·금융그룹감독법) 추진으로 인해 기업들이 부담을 호소하는 상황에서 대기업 총수 등 기업인을 마구잡이로 증인·참고인으로 불러내는 구태가 반복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24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정점식 국민의힘 의원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수석부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등 5대 그룹 총수를 한꺼번에 국감 증인으로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 의원 측 관계자는 “‘농어촌 상생협력기금’의 달성률이 매년 30%도 채 되지 않는다”며 “국감에서 이 문제를 따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더불어민주당의 민형배 의원은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을, 오기형 의원은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GIO)를 각각 증인으로 신청했다. 정무위원회 소속 야당 의원들은 사모펀드 비리 의혹과 관련해 4대 금융지주 회장 등을 모두 증인으로 신청했다.
이 밖에 박지원 두산중공업 회장, 김기남 삼성전자 부회장, 임병용 GS건설 부회장, 한영석 현대중공업 사장, 남준우 삼성중공업 사장, 박문덕 하이트진로 회장, 여민수 카카오 공동대표, 김영섭 LG CNS 사장, 김봉진 우아한형제들 의장,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 등도 여야 국감 증인 신청 명단에 이름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각 상임위는 여야 간사 협의를 통해 명단을 확정할 예정이다.
재계는 경기침체에 코로나19 사태까지 가세해 경제 전반이 극도로 악화한 상황에서 대기업집단 총수를 소환하는 것은 반등의 계기를 마련하는 데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우려하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대부분 기업이 코로나19로 비상경영체제를 유지하고 있는데 정치권은 총수 소환을 통해 기업에 또 다른 압박을 가하고 있다”면서 “정치적 목적으로 총수를 증인으로 채택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다른 재계 관계자는 “총수 소환 예고를 하고 결국 여·야 합의 과정에서 실무자나 고위 임원을 다시 부르는 상황이 매년 반복되고 있다”며 “생산 현장이 코로나19 방역으로 멈춘 상황에서 중대한 경영상의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총수가 꼭 나와서 대답해야 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총수 소환 정치쇼’를 자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후민·김수현·이정민 기자
재계 “코로나 비상 경영인데
‘총수 소환 정치쇼’ 자제해야”
여야가 21대 국회 첫 국정감사를 앞두고 5대 그룹 총수 등 기업인들을 증인으로 줄줄이 신청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경제 위기와 ‘기업규제 3법’(상법·공정거래법·금융그룹감독법) 추진으로 인해 기업들이 부담을 호소하는 상황에서 대기업 총수 등 기업인을 마구잡이로 증인·참고인으로 불러내는 구태가 반복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24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정점식 국민의힘 의원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과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수석부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등 5대 그룹 총수를 한꺼번에 국감 증인으로 신청한 것으로 나타났다. 정 의원 측 관계자는 “‘농어촌 상생협력기금’의 달성률이 매년 30%도 채 되지 않는다”며 “국감에서 이 문제를 따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더불어민주당의 민형배 의원은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을, 오기형 의원은 이해진 네이버 글로벌투자책임자(GIO)를 각각 증인으로 신청했다. 정무위원회 소속 야당 의원들은 사모펀드 비리 의혹과 관련해 4대 금융지주 회장 등을 모두 증인으로 신청했다.
이 밖에 박지원 두산중공업 회장, 김기남 삼성전자 부회장, 임병용 GS건설 부회장, 한영석 현대중공업 사장, 남준우 삼성중공업 사장, 박문덕 하이트진로 회장, 여민수 카카오 공동대표, 김영섭 LG CNS 사장, 김봉진 우아한형제들 의장, 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 등도 여야 국감 증인 신청 명단에 이름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각 상임위는 여야 간사 협의를 통해 명단을 확정할 예정이다.
재계는 경기침체에 코로나19 사태까지 가세해 경제 전반이 극도로 악화한 상황에서 대기업집단 총수를 소환하는 것은 반등의 계기를 마련하는 데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우려하고 있다.
재계 관계자는 “대부분 기업이 코로나19로 비상경영체제를 유지하고 있는데 정치권은 총수 소환을 통해 기업에 또 다른 압박을 가하고 있다”면서 “정치적 목적으로 총수를 증인으로 채택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다른 재계 관계자는 “총수 소환 예고를 하고 결국 여·야 합의 과정에서 실무자나 고위 임원을 다시 부르는 상황이 매년 반복되고 있다”며 “생산 현장이 코로나19 방역으로 멈춘 상황에서 중대한 경영상의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총수가 꼭 나와서 대답해야 하는 상황이 아니라면 ‘총수 소환 정치쇼’를 자제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후민·김수현·이정민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