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가평·양평·연천군과 여주·포천시가 급격한 인구 감소로 30년 이내에 소멸될 위기에 놓였다는 분석결과가 나와 해당 시·군들이 인구 감소 방지 대책을 마련하는 등 비상이 걸렸다. 특히 양평군과 여주시는 출산장려금(셋째 이상 1000만∼2000만 원)을 지급하는데도 인구가 감소하는 등 출산장려금 정책이 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가 최근 6년 동안 31개 시·군에 대해 ‘소멸 위험지수’를 분석한 결과 가평군과 양평군, 연천군, 여주시, 포천시 등 5개 시·군이 급격한 인구 감소를 겪으면서 향후 30년 이내 소멸할 수 있는 위기에 놓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출산율 감소와 함께 인구 고령화와 인근 신도시 인구 유출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돼 정부의 신도시 조성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소멸 위험지수란 20∼39세 여성 인구수를 65세 이상 노인 인구수로 나눈 값이다. 지수에 따라 소멸 고위험(0.2 미만), 소멸 위험 진입(0.2∼0.5 미만), 소멸 위험 주의(0.5∼1.5 미만), 소멸 위험 보통(1.0∼1.5 미만), 소멸 위험 매우 낮음(1.5 이상) 등 5단계로 나뉜다. 소멸 고위험과 소멸 위험 진입 단계의 시·군이 30년(출산 주기) 이내 없어질 ‘소멸 위험 지역’이다.

소멸 위험 지역으로는 ▲가평군(0.33) ▲양평군(0.34) ▲연천군(0.34)▲여주시(0.46) ▲포천시(0.49) 등 5개 시·군이 분류됐다. 지난해 여주시가 시 단위로 처음 포함된 데 이어 올해는 포천시가 새로 합류했다.

2013년 가평·연천 등 2곳에 불과했던 소멸 위험 지역이 7년 만인 올해 양평·여주·포천 등 3곳이 더 늘어난 것이다.

안성시도 매년 0.03∼0.06씩 소멸 위험지수가 떨어지면서 올해 0.64를 기록, 이르면 내후년쯤 소멸 위험 지역에 추가될 전망이다.

서울에서 전입하는 인구유입이 가장 많은 남양주가 0.93에서 0.88로, 김포가 1.13에서 1.09로 떨어지는 등 신도시가 있는 지역조차 출산율이 계속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에서 가까운 과천시만 유일하게 소멸 위험 지수가 0.94에서 0.95로 0.01 늘어나는 등 출산율이 증가했다.

인구가 안정적인 ‘소멸 위험 매우 낮음’ 단계의 시·군은 화성시(1.62)와 오산시(1.52) 등 2곳에 불과하는 등 29개 시·군이 극심한 인구 감소를 겪을 전망이다.

이에 대해 경기도는 올해 안으로 소멸 위험 지역 시ㆍ군을 대상으로 ‘저출산 대책 포럼’을 개최하고 국회의원 발의를 통해 소멸위기 지역에 규제 완화 및 조세 특례 등을 적용하는 ‘지방소멸위기지역 지원 특별법’ 제정도 추진할 예정이다.

의정부=오명근·수원=박성훈 기자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