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1년 삼립호빵 출시 이후 인기 여전…‘꿀씨앗’, ‘쑥떡’ 등으로 진화

겨울철 ‘국민 간식’으로 불리는 호빵이 올해로 탄생 50년을 맞았다. 지난 반세기 동안 60억 개라는 천문학적 판매량을 기록한 호빵은 이제 ‘단팥’을 넘어 다양한 속 재료로 진화하고 있다.

10일 식품업계에 따르면 호빵은 1971년 삼립식품(현 SPC삼립)이 최초로 출시했다. 당시 삼립은 빵의 비수기로 꼽히는 겨울철 매출을 늘리기 위해 호빵을 개발했다. 호빵은 말 그대로 ‘뜨거워서 호호 불면서 먹는 빵’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출시 당시였던 호빵은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호빵은 추위가 시작되는 10월 중순부터 이듬해 2월까지만 한시적으로 팔았는데도 삼립 연간 매출의 15%를 차지했을 정도다.

SPC 관계자는 “출시 첫해인 1971년 12월 31일, 하루에 호빵 출하량이 100만 개를 넘어섰다”며 “이처럼 호빵이 큰 인기를 끌면서 제품명 ‘호빵’은 찐빵을 가리키는 하나의 보통명사가 됐다”고 설명했다.

흔히 슈퍼마켓이나 편의점 앞 찜기에서 파는 형태의 호빵은 출시 첫해에는 없었던 풍경이다. 호빵은 처음에는 가정에서 쪄 먹는 제품으로 나왔기 때문이다. 삼립은 출시 이듬해인 1972년 1월 1일부터 각 판매처에서 호빵을 직접 쪄서 팔 수 있도록 제품진열대와 알루미늄 재질의 호빵 판매용 찜통을 제작해 배포했다.

SPC 관계자는 “이 같은 판촉 장비의 지원은 반세기 전만 해도 꽤 독창적인 발상이었다”며 “제품이 인기를 끌면서 호빵 광고 역시 각 방송국에서 ‘노래광고상’이나 ‘식품 TV 부문 우수상’ 등 각종 상을 받기도 했다”고 말했다.

현재까지 SPC가 집계한 호빵의 누적 판매량은 60억 개에 이른다. 호빵이 주로 겨울철에 많이 팔리는 계절 간식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놀라운 수치다. 출시 49년째였던 지난해에도 1000억 원가량의 매출을 기록했다. 50년 전과 달리 수많은 종류의 빵과 디저트가 각축을 벌이는 요즘에도 매년 약 10%에 달하는 매출 증가율을 기록 중이다.

‘단팥’과 ‘야채’로 대표되는 호빵은 최근에는 다양한 속 재료를 선보이며 변신을 꾀하고 있다. 올해도 ‘꿀씨앗호빵’, ‘쑥떡쑥떡 호빵’, ‘에그커스터트 호빵’ 등 소비자를 유혹하는 다양한 제품이 출시됐다. 옛것에 대해 흥미를 느끼는 젊은 세대를 겨냥해 1971년 출시 당시의 포장을 되살리고, ‘삼립호빵’ 전용 폰트를 개발하는 등 밀레니얼 세대 공략에도 나섰다.

SPC 관계자는 “이들 신제품 호빵의 매출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며 “매년 전체 호빵 매출 가운데 신제품 비중은 2016년까지는 10%대에 머물렀지만, 지난해에는 20% 이상으로 커졌다”고 말했다.

임대환 기자
임대환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