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빅데이터등 첨단기술 활용
국내 B2B DX 성공 모델 발굴
KT가 ‘인공지능(AI)·빅데이터(Big Data)·클라우드(Cloud)’ 등 첨단 기술을 활용하는 디지털 플랫폼 기업으로의 전환을 선언했다. 이동통신·인터넷·인터넷TV(IPTV) 등 대고객 사업(B2C) 위주에서 벗어나 다른 기업의 디지털 전환(DX)을 돕는 기업 간 거래(B2B) 시장을 정조준한다. 이를 위해 KT는 새 B2B 브랜드 ‘KT 엔터프라이즈(Enterprise)’를 선보였다.
구현모(사진) KT 대표는 28일 오전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파르나스 호텔에서 열린 ‘디지털-X(Digital-X) 서밋 2020’ 행사에서 “ABC 기반의 KT 플랫폼 서비스는 많은 산업 영역에 적용돼 비즈니스 혁신과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에 기여하고 있다”고 이 같은 경영전략을 발표했다. 구 대표는 “KT는 선제적으로 준비한 DX 역량과 상생·협력을 바탕으로 대한민국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를 이끌어 가겠다”고 말했다.
KT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파트너’라는 슬로건 아래 B2B DX 시장 발굴 및 확산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오는 11월 ‘KT DX 플랫폼’을 선보이고 금융·물류·사무환경·헬스·제조·데이터센터·사회간접자본(SOC) 등 7대 분야에서 DX 성공 모델을 발굴해 지방자치단체·교육·건설·산업단지·복합단지 등으로 DX 시장을 확대할 계획이다.
KT는 AI 역량을 기반으로 서빙로봇, 순찰로봇, 반려로봇, 청소로봇 등 가정에서 산업현장까지 아우르는 서비스 로봇 시장 확대에 나선다. AI 헬스케어 사업에도 진출한다. 단기적으로는 한국판 뉴딜과 연계한 공공의료 서비스와 스마트 병원 사업에 집중한 뒤 향후 비대면 의료 영상 솔루션 ‘KT 메디컬 메이커스(가칭)’를 개발해 환자와 의사의 1대1 비대면 진료, 의료진 간 비대면 협업 진료를 지원할 계획이다. 홈 AI 헬스케어 등 차세대 의료 서비스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 궁극적 목표다.
이승주 기자 sj@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