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기부 빼가고… 철도·공항사업 밀리고… 내년도 예산마저 줄어…
지난달 혁신도시 지정됐지만
丁총리 “공공기관 이전 어렵다”
시민단체 “지역홀대” 강력반발
중기부 세종行 추진에도 ‘부글’
최근 추가 지정된 대전·충남 혁신도시가 문재인 정부 임기 내에서는 공공기관 하나 없는 ‘깡통 혁신도시’로 전락할 처지에 놓였다. 세종시가 행정수도론 등으로 각광받고 있지만 대전·충남은 중소벤처기업부 세종시 이전 추진, 철도·공항 등 사회간접자본(SOC) 현안 사업 소외, 예산 감소 등이 이어지면서 ‘홀대론’에 따른 지역 민심이 들끓고 있다.
20일 대전·충남 지역 시민단체 등에 따르면 정세균 국무총리는 최근 한 방송사 대담에서 현 정부 임기 내에 2단계 공공기관 이전이 가능하냐는 질문에 “현실적으로 실행되기 어려울 것 같다”고 밝혔다. 이는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가 지난 4·15 국회의원 선거 당시 “총선 직후 공공기관을 지방으로 추가 이전하겠다”고 밝힌 것과 정반대 발언이다.
지난달 초순 대전·충남 혁신도시가 지정된 상황에서 정 총리의 이 같은 발언이 나오자 지역 시민단체들은 ‘망언’으로 규정하며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이상선 지방분권 충남연대 상임대표는 19일 “동남권 신공항을 김해에서 가덕도로 바꾸는 것은 시간이 많아서 가능하고, 공공기관 2차 이전은 시간이 없다는 게 앞뒤가 맞지 않는다”며 “수도권 공공기관을 이전하면 서울시장 선거에 부담이 될 거 같아서 정치 공학적으로 접근한 거 아니냐”고 의혹을 제기했다. 균형발전을 표방하던 문재인 정부가 정치적 고려로 공공기관 추가 이전 공약을 뒤집으려 한다는 비판이다.
박영선 장관이 이끄는 중소벤처기업부가 정부대전청사에서 세종시로 청사를 이전한다는 의향서를 최근 행정안전부에 제출한 것도 지역 민심을 악화시키고 있다. 대전시는 세종시로 인구·자본이 유출되면서 내년 예산을 올해보다 2.4% 줄여 편성할 정도로 ‘도시 쇠퇴’에 시달리는 상황이다.
호남선 고속화, 서해선 서울 직결, 서산 민항 취항 등 지역 숙원인 대형 SOC 건설 사업도 지지부진하다. 충남도 관계자는 “서산 민항사업은 줄이고 줄여서 400억 원대에 불과한 사업으로 10조 원짜리 가덕도 신공항의 0.4% 규모지만 번번이 우선순위에서 밀리고 있다”고 한탄했다.
지역 정가의 한 관계자는 “중기부 이전 추진은 가뜩이나 안 좋은 대전 민심에 기름을 부은 격”이라며 “아직 실체도 분명치 않은 혁신도시로 생색을 내고, 기존에 멀쩡히 있던 중앙부처와 산하기관을 빼가겠다는 것은 시민을 우롱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대전=김창희 기자 chkim@munhwa.com
지난달 혁신도시 지정됐지만
丁총리 “공공기관 이전 어렵다”
시민단체 “지역홀대” 강력반발
중기부 세종行 추진에도 ‘부글’
최근 추가 지정된 대전·충남 혁신도시가 문재인 정부 임기 내에서는 공공기관 하나 없는 ‘깡통 혁신도시’로 전락할 처지에 놓였다. 세종시가 행정수도론 등으로 각광받고 있지만 대전·충남은 중소벤처기업부 세종시 이전 추진, 철도·공항 등 사회간접자본(SOC) 현안 사업 소외, 예산 감소 등이 이어지면서 ‘홀대론’에 따른 지역 민심이 들끓고 있다.
20일 대전·충남 지역 시민단체 등에 따르면 정세균 국무총리는 최근 한 방송사 대담에서 현 정부 임기 내에 2단계 공공기관 이전이 가능하냐는 질문에 “현실적으로 실행되기 어려울 것 같다”고 밝혔다. 이는 더불어민주당 이해찬 대표가 지난 4·15 국회의원 선거 당시 “총선 직후 공공기관을 지방으로 추가 이전하겠다”고 밝힌 것과 정반대 발언이다.
지난달 초순 대전·충남 혁신도시가 지정된 상황에서 정 총리의 이 같은 발언이 나오자 지역 시민단체들은 ‘망언’으로 규정하며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이상선 지방분권 충남연대 상임대표는 19일 “동남권 신공항을 김해에서 가덕도로 바꾸는 것은 시간이 많아서 가능하고, 공공기관 2차 이전은 시간이 없다는 게 앞뒤가 맞지 않는다”며 “수도권 공공기관을 이전하면 서울시장 선거에 부담이 될 거 같아서 정치 공학적으로 접근한 거 아니냐”고 의혹을 제기했다. 균형발전을 표방하던 문재인 정부가 정치적 고려로 공공기관 추가 이전 공약을 뒤집으려 한다는 비판이다.
박영선 장관이 이끄는 중소벤처기업부가 정부대전청사에서 세종시로 청사를 이전한다는 의향서를 최근 행정안전부에 제출한 것도 지역 민심을 악화시키고 있다. 대전시는 세종시로 인구·자본이 유출되면서 내년 예산을 올해보다 2.4% 줄여 편성할 정도로 ‘도시 쇠퇴’에 시달리는 상황이다.
호남선 고속화, 서해선 서울 직결, 서산 민항 취항 등 지역 숙원인 대형 SOC 건설 사업도 지지부진하다. 충남도 관계자는 “서산 민항사업은 줄이고 줄여서 400억 원대에 불과한 사업으로 10조 원짜리 가덕도 신공항의 0.4% 규모지만 번번이 우선순위에서 밀리고 있다”고 한탄했다.
지역 정가의 한 관계자는 “중기부 이전 추진은 가뜩이나 안 좋은 대전 민심에 기름을 부은 격”이라며 “아직 실체도 분명치 않은 혁신도시로 생색을 내고, 기존에 멀쩡히 있던 중앙부처와 산하기관을 빼가겠다는 것은 시민을 우롱하는 일”이라고 말했다.
대전=김창희 기자 chkim@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