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B금융그룹은 27일 윤종규(사진 가운데) 회장과 허인 KB국민은행장 등 주요 계열사 경영진으로 구성된 ‘제3차 KB뉴딜·혁신금융협의회’를 개최했다고 30일 밝혔다.
화상으로 열린 이날 회의에서 윤 회장은 “뉴딜·혁신금융에 대한 지원을 통해 그룹의 핵심 전략 방향인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경영과 연계된 사회적 가치 창출에 앞장서 나가자”며 “동시에 뉴딜·혁신금융을 그룹의 새로운 성장 기회로 삼고 역량을 결집해 속도감 있게 추진해 나가자”고 말했다.
KB금융은 지난 7월부터 ‘KB혁신금융협의회’를 KB뉴딜·혁신금융협의회로 확대해 운영 중이다. KB뉴딜·혁신금융협의회를 중심으로 2023년까지 66조 원의 ‘혁신금융’ 지원 및 2025년까지 10조 원의 ‘한국판 뉴딜’ 지원 등 총 76조 원의 금융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기존 ‘혁신금융’ 4대 의제인 ▲혁신기업 여신지원 강화 ▲혁신성장 투자 확대 ▲창업지원 및 일자리 창출 ▲스타트업 육성 및 금융 연계플랫폼 혁신에 더해, 뉴딜 관련 ▲한국판 뉴딜 지원 의제를 추가했다. 총 5대 의제에 대한 지원 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추진계획을 논의했다.
KB금융의 혁신금융 중 기술금융 지원 규모는 올해 순증 목표 6조8000억 원을 뛰어넘는 8조4000억 원에 달하며, 혁신기업 여신지원을 위한 동산담보대출 1228억 원, 혁신기업에 대한 1742억 원의 투자 등을 통해 연간 목표를 조기 달성했다고 KB금융은 설명했다.
혁신금융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올해 6400건의 ‘창업지원 컨설팅’을 수행했고, 일자리 창출을 위한 ‘KB굿잡’ 취업박람회로 올해 3200여명의 취업을 연결했다. 정책자금 플랫폼 ‘KB bridge’ 누적 이용인원은 10만7000명에 육박했다.
최근에는 국민들의 한국판 뉴딜 사업 동참 및 수익 공유 성공 모델을 만들기 위해 ‘KB 코리아뉴딜 펀드’, ‘KBStar 수소경제테마 ETF’ 등 민간 공모형 펀드를 출시했다. ‘KB생활인프라 펀드’ 2000억 원 및 ‘KB신재생 그린뉴딜 펀드’ 1300억 원 결성 등을 통해 본격적인 지원 확대에 나서고 있다.
송정은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