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보고서
“애국소비층 등 세 부류별로
마케팅 전략 세분화해 공략”
Z세대가 새로운 주요 소비층으로 떠오르고 있는 중국 소비시장의 흐름을 국내 기업의 마케팅 전략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중국에서 1995∼2009년 출생한 Z세대는 올해 중국 전체 소비시장의 40%를 차지할 것으로 파악됐다. 4일 한국무역협회 상하이(上海)지부의 ‘새로운 소비 트렌드를 이끌 중국의 Z세대’ 보고서에 따르면, Z세대 인구는 지난해 기준 약 2억6000만 명으로, 전체의 18.6%를 차지하면서 차세대 주요 소비층으로 부상했다.
이는 이전 세대들(1995년생 이전)보다 경제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소비 수준도 함께 상승했기 때문으로 파악됐다. 2018년 기준 Z세대의 한 달 평균 가처분소득은 3501위안으로, 중국 전체 인구의 월평균 가처분소득(2344위안)보다 많다.
보고서는 중국의 Z세대를 △아이돌 팬덤층 △서브컬처(하위문화) 팬덤층 △애국소비층으로 구분했다. 아이돌 팬덤층의 78%는 여성으로, 주로 중국판 인스타그램인 샤오홍슈처럼 콘텐츠 소비와 제품 거래가 동시에 이뤄지는 앱을 통해 소비 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서브컬처 팬덤층은 남성이 과반을 차지한다. 이들은 애니메이션, 만화, 온라인·모바일 게임 관련 콘텐츠에 열광하는 특징이 있다.
애국 소비층은 가성비가 좋은 중국산 브랜드와 중국풍 디자인을 선호하는 소비층이다. 중국 알리 연구원에 따르면, 중국 국산 브랜드 구매자 중 Z세대 비중이 50%를 넘는다.
심준석 무역협회 상하이지부장은 “Z세대는 중국 경제성장과 함께 탄생한 풍족한 세대이지만, 부모 세대인 X세대의 경제적 어려움을 보고 자랐기에 실용적 소비 성향도 엿보인다”며 “Z세대를 공략하려면 주요 소비층별로 마케팅 전략을 세분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황혜진 기자 best@munhwa.com
“애국소비층 등 세 부류별로
마케팅 전략 세분화해 공략”
Z세대가 새로운 주요 소비층으로 떠오르고 있는 중국 소비시장의 흐름을 국내 기업의 마케팅 전략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중국에서 1995∼2009년 출생한 Z세대는 올해 중국 전체 소비시장의 40%를 차지할 것으로 파악됐다. 4일 한국무역협회 상하이(上海)지부의 ‘새로운 소비 트렌드를 이끌 중국의 Z세대’ 보고서에 따르면, Z세대 인구는 지난해 기준 약 2억6000만 명으로, 전체의 18.6%를 차지하면서 차세대 주요 소비층으로 부상했다.
이는 이전 세대들(1995년생 이전)보다 경제 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소비 수준도 함께 상승했기 때문으로 파악됐다. 2018년 기준 Z세대의 한 달 평균 가처분소득은 3501위안으로, 중국 전체 인구의 월평균 가처분소득(2344위안)보다 많다.
보고서는 중국의 Z세대를 △아이돌 팬덤층 △서브컬처(하위문화) 팬덤층 △애국소비층으로 구분했다. 아이돌 팬덤층의 78%는 여성으로, 주로 중국판 인스타그램인 샤오홍슈처럼 콘텐츠 소비와 제품 거래가 동시에 이뤄지는 앱을 통해 소비 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서브컬처 팬덤층은 남성이 과반을 차지한다. 이들은 애니메이션, 만화, 온라인·모바일 게임 관련 콘텐츠에 열광하는 특징이 있다.
애국 소비층은 가성비가 좋은 중국산 브랜드와 중국풍 디자인을 선호하는 소비층이다. 중국 알리 연구원에 따르면, 중국 국산 브랜드 구매자 중 Z세대 비중이 50%를 넘는다.
심준석 무역협회 상하이지부장은 “Z세대는 중국 경제성장과 함께 탄생한 풍족한 세대이지만, 부모 세대인 X세대의 경제적 어려움을 보고 자랐기에 실용적 소비 성향도 엿보인다”며 “Z세대를 공략하려면 주요 소비층별로 마케팅 전략을 세분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황혜진 기자 best@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