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서울·부산 재보선 앞두고
리얼미터 文 긍정평가 36.6%
40% 무너지며 민주당 동반하락

野 정권심판 vs 與 프레임 전환
야권 단일화·코로나 백신 확보
李·朴 사면 등 막판 변수 떠올라


석 달 앞으로 다가온 4·7 재·보궐선거가 대통령 선거급으로 의미가 커지고 있다. 2022년 3월 차기 대선을 1년 앞두고 치러지는 이번 선거는 역대 대선의 최대 승부처인 서울 등 수도권과 부산·울산·경남(PK)에서 집중적으로 치러진다는 점에서 대선 전초전으로 불리고 있다. 범여권과 범야권이 정권 재창출이냐 정권 탈환이냐를 두고 격돌하는 것이다.

◇대통령 지지율 급락에 먹히는 野 ‘정권심판’ 프레임 = 더불어민주당은 지난해 4·15 총선까지 전국단위 선거에서 4연승했다. 하지만 4·7 재·보궐선거만큼은 낙관하기 어렵다는 분위기가 역력하다. 고공 행진하던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 지지율은 지난해 40% 선이 무너진 후 좀처럼 회복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 리얼미터가 YTN 의뢰로 지난달 28∼31일 유권자 2003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12월 5주차 주간집계 결과(신뢰수준 95%에 표본오차 ±2.2%포인트,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에 따르면,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 긍정평가는 전주 대비 0.1%포인트 떨어진 36.6%로 나타났다. 추미애 법무부 장관 교체를 비롯한 개각 인사, 문 대통령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확보 노력에도 대통령 지지율이 5주 연속 30%대에 머물며 반등하지 못한 것이다.

야권은 서울·부산 보궐선거에서 ‘정권심판’ 프레임을 전면에 내걸었다. 현 정부의 부동산 실정과 ‘추미애·윤석열’ 사태로 인한 민심 이반이 어느 때보다 심각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실제 TBS·YTN이 공동으로 지난달 29∼30일 서울 거주 유권자 1020명 대상(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으로 조사한 결과, ‘정부·여당을 심판하기 위해 야당 후보를 지지하겠다’는 응답은 51.5%에 달했다. 반면, ‘안정적인 국정운영을 위해 여당 후보에게 힘을 실어줘야 한다’는 응답은 38.6%에 그쳤다. 민주당이 ‘박근혜·이명박 사면’ ‘검찰개혁 시즌2’ 등 새 프레임 전환을 시도하는 것도 이러한 민심 이반을 우려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야권 단일화·코로나19 변수 = 여야가 팽팽한 접전을 보이는 현재 흐름은 야권 단일화를 비롯한 주요 변수를 맞아 급반전할 가능성이 남아 있다.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세를 타고 있지만, 아직 대세론을 형성한 후보가 없다. 의석수 3석에 불과한 국민의당에서 안철수 대표가 서울시장 출마 선언 후 각종 여론조사에서 압도적인 1위를 기록하고 있다.

임성호 경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국민의힘은 안 대표에게 끌려가길 거부할 것”이라며 “단일화 과정이 생각보다 순탄치 않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코로나19로 인한 중소 자영업자들의 어려움, 이에 대한 재난지원금과 백신 확보 등 정부·여당의 대처도 선거를 뒤흔들 변수로 거론된다. 박근혜·이명박 전 대통령에 대한 문 대통령의 사면 결단 여부도 선거 프레임을 한순간에 반전시킬 수 있다.

이준한 인천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코로나19로 인한 중소 자영업자들 마음이 큰 변수”라며 “백신, 재난지원금 등에 대한 민주당의 시계도 4월 보궐선거에 맞춰져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윤희 기자 worm@munhwa.com
김윤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