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충제 이버멕틴(ivermectin)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치사율을 최대 80%까지 낮추는 효과가 있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4일 영국의 데일리메일에 따르면 영국 리버풀대가 이집트·아르헨티나·방글라데시 등 개발도상국에서 코로나19 환자 총 1400여 명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한 결과 치사율이 최대 80% 낮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이 대학의 바이러스 전문가인 앤드루 힐 박사는 “이버멕틴이 투여된 환자 573명 중에서는 8명, 위약이 투여된 환자 510명 중에서는 44명이 사망했다”고 말했다. 이버멕틴은 1970년대에 개발된 구충제로, 머릿니와 옴 같은 기생충 감염 치료에 널리 쓰이고 있는 값싼 약이다.

또 이버멕틴은 환자의 몸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제거되는 데 걸리는 시간도 크게 단축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힐 박사는 밝혔다. 이집트에서 증상이 경증인 환자 2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임상시험에서 이버멕틴이 투여된 100명은 5일 안에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사라진 반면, 위약이 투여된 100명은 바이러스가 사라지는 데 10일이 걸렸다. 중증환자 2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임상시험에서는 바이러스가 사라지는 데 걸린 시간이 이버멕틴이 투여된 100명은 6일, 위약이 투여된 100명은 12일로 나타났다. 방글라데시의 임상시험에서도 이와 비슷한 결과가 나왔다. 임상시험에서 사용된 이버멕틴의 용량은 대부분 0.2~0.6㎎/㎏이었으나 12㎎의 고용량이 투여된 임상시험도 한 건 있었다. 앞서 호주 모나시대 연구팀은 지난 4월 초 이버멕틴에 노출된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유전물질이 48시간 만에 소멸했다는 시험관 실험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임상시험이 대부분 참가자 수가 적으며, 사용된 이버멕틴 용량이 제각각이라면서 결과에 의문을 표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코로나19 치료의 ‘게임 체인저’가 될 것이라고 장담했다가 효과가 없는 것으로 판명된 말라리아 치료제 하이드록시클로로퀸의 전철을 이버멕틴이 따르지 않을까 하는 우려도 나온다.

박세희 기자
박세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