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는 오후8시에 ‘재난문자’
최근 폭설 후 서울 일부 지역 기온이 영하 20도 아래로 떨어지며 ‘북극 한파’가 절정을 보인 8일에도 서울시의 ‘엉터리 제설 행정’ 여진이 계속되고 있다. 오는 12일까지 매서운 한파가 지속되고 제설 작업도 나흘 정도 더 걸릴 것으로 보여 시민들의 불편은 주말 내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서울시는 폭설 부실 대응에 별다른 사과 없이 ‘예보 부정확’ 등의 변명으로 일관하고 있다.
지난 6일 저녁부터 7일 새벽까지 서울에 최대 13.7㎝의 많은 눈이 내려 이날까지도 출근길에 일부 시민이 큰 불편을 겪었다. 앞서 기상청은 지난 6일 오전부터 서울에 최대 8㎝의 눈이 올 것이라고 예보하며 대설 예비 특보를 내렸지만, 서울시는 사전에 시민들에게 폭설 대비 안내를 하지 않았다. 서울시가 재난 문자를 발송한 것은 6일 오후 8시 20분이었다. 이미 시민들이 퇴근길 불편을 겪던 시간이었으나 문자는 “(7일) 출근길에 대중교통을 이용해달라”는 내용에 그쳤다. 조기 퇴근을 유도하는 등 차량분산 시도조차 없었던 것이다.
게다가 눈은 6일 오후 6시 30분쯤 내리기 시작했으나 서울시의 제설 작업은 이보다 한 시간가량 뒤늦은 오후 7시 20분이 돼서야 시작됐다. 24시간 상황실 가동은 한파경보가 내려지고 하루가 지난 7일 오후 2시가 넘어서야 방침을 공개하면서 밤사이 내린 폭설 제설 작업에 2만4000여 명의 인원을 투입하고, 총 7551t의 제설제를 투입하는 등 출근길 시민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했다고 설명했다. ‘늑장 대응’ 비판이 일자 서울시는 오히려 폭설 예보가 부정확했다며 기상청에 화살을 돌렸지만, 기상청은 지난 6일 눈이 내리기 5시간 전에 서울시 담당 부서에 ‘제설 작업에 대비하라’는 전화까지 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다음 주 화요일(12일)까지 영하 8∼17도 정도의 한파가 지속해 잔설·결빙 제거작업도 약 4일 정도 더 걸릴 것” 등 외에는 시민 불편에 대한 별다른 사과 입장을 내지 않고 있다.
한편 이틀 새 내린 눈으로 곳곳이 얼어붙으면서 고령자 등의 낙상 사고도 우려되고 있다. 특히 고령층은 낙상으로 엉덩이골절(고관절)이 발생하면 자칫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의료계 관계자들은 “고관절 골절이 발생하면 통증 때문에 보행이 어려워져 오랜 기간 침상 생활을 해야 한다”며 “일상생활을 제대로 할 수 없는 상황에서 꼼짝없이 누워 있으면 심장마비나 뇌졸중과 같은 고위험 질환을 유발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김성훈 기자 powerkimsh@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
관련기사
57[속보]이 대통령 ‘잘할 것’ 65%·‘잘못할 것’ 24%…민주 45%·국힘 23%-NBS
[속보]이재명 시계 만든다…李 “제작 지시, 기대해주셔도 좋다”
-
관련기사
27尹 오늘 2차 소환 불응…경찰 “일과 끝날 때까지 기다릴 것”
‘비화폰 삭제 의혹’ 尹 전 대통령, 경찰 소환조사 불응 방침
-
관련기사
104‘안미경중’ 경고 이어… 미, 이재명 대통령에 ‘中 거리두기’ 요구
투표율 79.4%, 1997년 이후 최고치… 광주 83.9%로 1위·제주 74.6% 최저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