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E - GMP’에 탑재

현대위아가 국내 자동차부품 업계 최초로 전기차 배터리와 구동 부품을 통합해 열(熱)을 관리하는 모듈을 개발했다. 현대위아는 이를 계기로 친환경차 부품업체로의 전환에 속도를 낼 방침이다.

현대위아는 친환경차 전용 열관리시스템 중 하나인 ‘냉각수 분배·공급 통합모듈(사진)’ 개발에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모듈은 현대자동차의 전기차 전용 플랫폼 ‘E-GMP(Electric-Global Modular Platform)’ 탑재가 확정됐으며, 오는 2023년부터 양산에 들어간다.

냉각수 분배·공급 통합모듈은 전기차 배터리, 구동 부품 및 전장부품의 열을 관리하는 장치다. 전기차는 구동에 필요한 주요 부품 온도를 사계절 적정 수준으로 유지해야 효율과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다. 기존 방식은 구동 부품과 배터리 냉각을 각각 별도의 장치로 처리했는데, 현대위아는 이를 하나의 모듈로 통합했다. 현대위아 관계자는 “냉매 열교환기와 냉각수 분배, 공급 부품을 통합함으로써 기존 시스템보다 열관리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됐다”며 “전기차 주행거리를 늘리고, 배터리 수명도 크게 향상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현대위아는 냉각수 분배·공급 통합 모듈을 E-GMP에 장착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냉각수 순환과 진동 온도 등 조건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는 ‘복합 환경 작동 및 진동 내구 시험기’를 경기 의왕연구소에 국내 최초로 설치, 혹독한 조건에서 열관리 모듈을 검증했다고 밝혔다. 이 과정에서 현대위아는 해외 4건 등 30여 건의 열관리 모듈 관련 특허를 출원했다. 현대위아는 오는 2025년까지 냉각 모듈에 실내 공조까지 아우를 수 있는 ‘통합 열관리 시스템(Integrated Thermal Management System·ITMS)’ 개발까지 완료할 예정이다.

김성훈 기자 tarant@munhwa.com
김성훈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