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18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신년 기자회견을 열어 신축년(辛丑年) 새해 정국 구상을 밝힌다. 회견은 오전 10시부터 약 100분간 진행되며 TV로 생중계된다. 신년 메시지, 신년 인사회, 신년사 발표로 이어진 새해 국정운영 구상을 전달하는 종합적인 자리가 될 전망이다.
문 대통령은 회견에 참석한 내외신 기자 120명으로부터 방역·사회, 정치, 경제, 외교안보 등 전 분야에 걸쳐 자유롭게 질문을 받을 계획이다. 다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춘추관 회견 현장에 참석하는 기자는 20명으로 제한했고, 100명의 기자는 화상연결 형태로 접속해 질문한다. 회견 현장과 화상연결에 참여하지 못하는 기자들은 온라인 채팅창을 통해 질문한다. 코로나19 방역 지침 준수에 따라 처음 시도되는 방식이다. 영빈관이 아닌 춘추관에서의 신년 회견도 이번이 처음이다.
정치권에서는 문 대통령이 이번 회견에서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 특별사면 문제에 어떤 언급을 내놓을지 주목하고 있다. 국정지지율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부동산 문제와 관련한 문 대통령의 입장도 주목된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 11일 신년사에서 “국민께 매우 송구한 마음”이라며 부동산 문제에 처음으로 사과하면서 “특별히 공급확대에 역점을 두겠다”고 밝힌 바 있다. 따라서 신년 회견에서 구체적인 대책을 제시할 가능성도 있다.
검찰 등 권력기관 개혁 후속조치, 백신 확보 등 방역 대책, 코로나19에 따른 경제충격 회복방안도 거론할 것으로 보인다. 외교안보 분야에서는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를 진전시킬 방안에 질문의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예상된다. 경색된 한·일 관계에 대해 어떤 해법을 내놓을지도 관심사다.
민병기 기자
문 대통령은 회견에 참석한 내외신 기자 120명으로부터 방역·사회, 정치, 경제, 외교안보 등 전 분야에 걸쳐 자유롭게 질문을 받을 계획이다. 다만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영향으로 춘추관 회견 현장에 참석하는 기자는 20명으로 제한했고, 100명의 기자는 화상연결 형태로 접속해 질문한다. 회견 현장과 화상연결에 참여하지 못하는 기자들은 온라인 채팅창을 통해 질문한다. 코로나19 방역 지침 준수에 따라 처음 시도되는 방식이다. 영빈관이 아닌 춘추관에서의 신년 회견도 이번이 처음이다.
정치권에서는 문 대통령이 이번 회견에서 이명박·박근혜 전 대통령 특별사면 문제에 어떤 언급을 내놓을지 주목하고 있다. 국정지지율 하락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 부동산 문제와 관련한 문 대통령의 입장도 주목된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 11일 신년사에서 “국민께 매우 송구한 마음”이라며 부동산 문제에 처음으로 사과하면서 “특별히 공급확대에 역점을 두겠다”고 밝힌 바 있다. 따라서 신년 회견에서 구체적인 대책을 제시할 가능성도 있다.
검찰 등 권력기관 개혁 후속조치, 백신 확보 등 방역 대책, 코로나19에 따른 경제충격 회복방안도 거론할 것으로 보인다. 외교안보 분야에서는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를 진전시킬 방안에 질문의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예상된다. 경색된 한·일 관계에 대해 어떤 해법을 내놓을지도 관심사다.
민병기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