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직원들의 고액연봉 논란에 수신료 통합 징수에 대한 반발을 사고 있는 공영방송 KBS의 이사회가 수신료를 월 2500원에서 3840원으로 인상하는 안까지 상정한 후 시민사회계에선 수신료 인상 거부는 물론 폐지 운동으로까지 확산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2일 김종문 시청료납부거부운동본부 본부장은 문화일보와의 통화에서 KBS 직원들의 고연봉 논란에 대해 “공영방송으로서 제대로 의식을 갖고 있는 직원들이 방송을 만든다면 국민이 수신료 2500원을 아깝다고 거부를 하겠냐”며 “정권 초부터 김제동 프로그램 등 편향적 프로그램이 편성돼 왔고, 최근 들어선 정부의 대북정책 기조 등에 발맞춰 보도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임헌조 범시민사회단체연합(범사련) 사무총장은 “현재 KBS의 방송을 보면 공영방송이 아니라 국영방송에 가깝다”며 “공정하지 못한 (보도를 하는) 상황에서 수신료를 전기료에 포함한다는 것 자체가 준조세적 성격”이라고 지적했다. 서울대 재학생들이 모인 스누라이프에선 ‘억대 연봉 KBS 수신료 안 내는 방법’ ‘KBS 수신료 행정소송 불가능한가’ 등 수신료 납부 거부와 관련된 글이 지속적으로 올라오고 있다.

또 정치권에 따르면, KBS가 최근 마련한 ‘2021년 1월 텔레비전 방송 수신료 조정안’ 자료에서 2025년까지 중·장기 계획안으로 평양지국 개설 추진을 포함시킨 것을 놓고 한층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박준식 자유언론국민연합 사무총장은 “얼마 전 김여정(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수백억 원의 남측 예산이 투입된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한 데 대한 재발방지대책을 마련한 것도 아닌데 평양지국을 개설한다는 것 자체가 어불성설”이라며 “KBS의 억대 연봉자들이 인질이 되지 말란 법도 없다”고 했다. 연합회 측은 평양지국 개설 반대와 KBS의 정권 편향적 보도 및 공정성 상실 논란에 대한 규탄 성명을 내놓겠다는 입장이다.

김규태·조재연·최지영 기자

관련기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