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국·본부별 예방교육 참여율
서울시 80.5%·부산시 73.8%
경남 98%·충남 97.9%와 대조
서울시에선 30% 미만 부서도
“진정성 있는 자세 필요” 지적


지방자치단체장이 성 비위 사건에 연루된 서울시와 부산시가 내부 성희롱·성폭력 근절을 공언했지만 정작 지난해 전 직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성폭력 예방교육 참여율이 전국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최하위권에 그친 것으로 파악됐다. 최근 국가인권위원회에서 고 박원순 전 서울시장의 행위가 성희롱에 해당한다는 판단을 내놓고 검찰이 오거돈 전 부산시장을 강제추행 등 혐의로 기소한 가운데 두 지자체가 보다 진정성 있는 자세로 사태 재발방지에 힘써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일 국회 여성가족위원회 김미애 국민의힘 의원이 서울·부산시, 충남도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와 문화일보 취재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부산시의 실·국·본부별 ‘직장 내 성희롱 등 폭력 예방교육’ 직원 참여율은 각각 80.5%, 73.8%에 그쳤다. 전국 17개 광역단체 중 각각 15위, 17위에 해당하는 수치다.

두 도시의 교육 참여율은 수치상으로 작지 않은 비율로 보이지만 지자체장 성범죄가 발생하지 않은 다른 도시들과 비교하면 초라한 성적표로 분석된다. 실제 같은 기간 경남(98.0%), 대전(97.9%), 충북(95.5), 경기(95.0%), 세종(93.2%) 등 9개 시도는 참여율이 90%를 넘어섰다. 안희정 전 충남지사의 성폭력 사건이 벌어졌던 충남도 직원 97.9%가 교육에 참여했다. 부산을 한 단계 앞선 경북(78.3%)을 제외하고 울산(88.1%), 전남(87.7%), 강원(81.3%) 등도 모두 서울을 앞질렀다. 서울의 경우 각 실·국·본부별로 교육 참여율이 큰 격차를 보였다. 직원 수와 업무 성격 등을 고려하지 않고 참여율만 봤을 때 행정1부시장실(4명)과 행정국(332명)은 전 직원이 참여해 100% 참여율을 보였다. 시민소통기획관(146명 중 144명·98.6%), 여성가족정책실(152명 중 149명·98.0%) 등도 상대적으로 높은 참여율을 기록했다. 반면 서울민주주의위원회(87명 중 26명·29.9%), 안전총괄실(257명 중 137명·53.3%), 시민감사옴부즈만위원회(37명 중 20명·54.1%) 등은 절반 안팎의 직원들만 교육을 이수했다. 이런 가운데 박 전 시장 성추행 사건 피해자가 박 전 시장을 고소한 지난해 7월 8일 이후에도 서울시 공무원 2명이 성 비위 사건에 연루돼 모두 정직 처분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김 의원은 “시정 공백을 초래한 큰 사건이 벌어졌는데도 아직 직원들의 경각심이 부족하다”고 비판했다.

부산에서는 교육 이수율이 100%를 기록한 실·국·본부는 단 한 곳도 없었다. 여성가족국(74명 중 69명·93.2%)이 가장 참여율이 높았고, 해양수산물류국(119명 중 50명·42.0%)은 가장 저조했다.

최준영 기자, 전국종합
최준영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