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가 “군부, 中과 밀착할것
외국자본 축소 경제이점 상실”
‘미얀마 군부의 쿠데타 배경에는 ‘트럼프적 사고방식’이 깔려 있다?’
1일 미얀마 군부가 부정 선거를 주장하며 아웅산 수지 국가고문을 비롯한 정부 인사를 구금하고 비상사태를 선포했지만, 근거가 설득력이 없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또 ‘아시아의 마지막 프런티어’로 불리는 미얀마의 지리·경제적 이점이 사라지게 되면서 군부가 인권과 민주화를 요구하는 서방보다는 중국에 가까워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1일 BBC방송은 ‘트럼프적(Trumpian)’이란 용어를 써가며 미얀마 군부의 부정선거 의혹 제기가 설득력이 없다고 전했다. 지난해 11월 열린 대선에서 패배했던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계속 승복하지 않고 선거부정 의혹을 제기해왔듯, 미얀마 군부와 친(親)군부 성향의 제1야당인 통합단결발전당(USDP) 인사들이 지난해 11월 열린 총선에서 선거관리위원회가 유권자 명단을 대거 누락하는 선거부정을 저질렀다고 주장해왔다는 것이다. 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HRW) 아시아지부의 필 로버트슨 부국장은 “누가 봐도 명백한 수지 고문 진영의 승리였고, 군부 측 주장은 증거가 없는데도 계속 선거부정을 주장하는 것은 약간 트럼프적”이라고 말했다. 전 언론인 아예 민 탄트는 로힝야족 탄압 등으로 “수지 고문이 국제사회 신망을 잃었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대처 미흡 등으로 군부는 이번에 자신들이 승리할 것이라고 믿었던 것 같다”면서 이번 사태의 배경을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쿠데타의 영향으로 그동안 미얀마에 들어와 있던 외국자본이 대거 축소되고, 경제 이권 등이 중국 관련 기업 중심으로 넘어갈 가능성을 제기하고 있다. 탄트는 “군부는 외부인들을 자신들의 큰 위협으로 보고 있다”며 향후 군부의 통치가 외국인이나 외국 자본에 적대적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재러드 매카시 싱가포르국립대 아시아연구소 연구원도 “군이 발표한 대로 앞으로 1년간 권력을 잡을 경우 중국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들과는 관계가 대거 단절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박준우 기자 jwrepublic@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