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기반으로 산불 다발 지역 입산 통제 강화
내화수림대 조성, 산불예방 임도 넓혀 산불방지·감시 기반 확충


산림청(청장 박종호)이 산불예방을 위해 산악지형을 그대로 재현한 입체형(3D) 산불확산예측 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첨단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해 산불예방 체계를 구축한다.

2일 산림청은 전날 정부대전청사에서 중앙산불대책본부 현판식을 갖고 2021년 ‘케이(K)-산불방지종합대책’을 본격 시행한다고 밝혔다.

5대 추진전략과 16개의 중점추진 과제로 구성된 올해 산불대책은 국민안전 서비스를 강화하고, 이를 통해 탄소흡수원 보호와 ‘2050 탄소중립 실현’을 뒷받침하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다.

산림청은 올해 산불 방지 5대 전략으로 ▲스마트 산불 대응 강화 ▲산불단계별 대비태세 확립 ▲원인·대상별 맞춤형 산불예방 ▲진화전략 차별화 ▲산불안전 인식 제고 등을 내세웠다.

우선, 평면형(2D)으로 운영하던 산불확산예측 시스템은 올봄부터 민가, 철탑, 문화재 등 보호 대상 시설과 산악지형을 실제와 동일한 입체형으로 구현해 더 정밀한 산불 진화를 한다. 대형산불이 끊이지 않는 동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연기·불꽃·동작 등 감지 센서, 스마트 CCTV 등 감시체계와 LTE 광대역 통신망을 연계한 산불방지 정보통신기술 플랫폼 4곳을 확대 구축한다.

진화 차량 통행을 원활하게 하며 방화선 역할을 하는 산불방지 임도 100㎞를 추가 설치한다.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산불 다발 지역에 대한 입산 통제를 강화하고 행정안전부, 농림축산식품부 등의 농산촌 지역 마을 가꾸기 사업과 연계해 소각산불 원인을 제거한다.

산림인접지 농가주택, 펜션 등에서 비화하는 산불에 대비해 매년 산불 안전 공간을 20곳씩 조성한다. 문화재, 국가기간시설 등 주요시설 주변에 살수 기능이 있는 수막시설(스프링클러 방식)도 매년 20곳씩 설치한다.

지난해에는 620건의 산불로 산림 2920㏊가 소실됐다. 최근 10년 평균 대비 건수는 31%, 면적은 161% 늘었다. 기후변화 영향으로 산불이 연중 발생하고 대형화하는 가운데 올봄에도 건조한 날씨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돼 산불위험도 높아질 전망이다.

박종호 산림청장은 “산불 안전은 국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와 관심이 절실히 필요하다”며 “올해도 정예 산불특수진화대를 중심으로 유관기관의 협력체계를 공고히 하여 산불 최소화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대전=김창희 기자
김창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