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큰 피해를 당한 업주와 취약계층 등 4만1000여 명에게 생활안정자금을 지원하는 추가 대책을 마련했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2일 오전 11시 30분 관내 5개 구청장들과 함께 온라인 브리핑을 갖고 제12차 민생안정대책을 발표했다. 이 대책은 지난 연말부터 집합금지 등 행정조치로 큰 피해와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 저소득층 등을 긴급지원하기 위한 것이다. 14개 분야 4만1000여 시민·가구·시설에 대해 127억 원을 지원하는 것이 골자다.
시는 우선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생계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초생활수급자와 법정 차상위 중 생계급여 등을 지원받지 않고 있는 3만1500여 가구에 각각 20만 원을 지원한다. 별도의 신청 절차 없이 설 명절 전까지 해당 가구에 선불형 광주상생카드로 지급할 계획이다.
시는 집합금지 행정조치가 2차례 내려졌던 관내 유흥업소(유흥주점, 콜라텍, 단란주점, 감성주점, 홀덤펍) 1192곳에 한 곳당 150만 원씩 지원한다. 관내 종교시설 2100 곳에는 방역 물품구입비로 30만 원씩 지원한다. 유흥업소와 종교시설 모두 행정명령을 위반한 경우 지급 대상에서 제외된다.
시는 행사·관광을 주로 하는 전세버스 운송업체 25곳에는 150만 원씩 지원한다. 또 그동안 지원에서 제외된 전세버스 운수종사자, 어린이집 휴원으로 운행을 멈췄던 어린이집 통합 버스 기사, 코로나19로 매출이 감소한 택시법인에 소속된 법인택시 기사 등 총 3000명 내외에 대해 1인당 50만 원을 지원한다.
시는 이와 함께 대중적 집합활동이 제한되면서 생계유지가 어려운 문화예술 활동가 2000여 명에 대해서도 긴급생활안정자금으로 30만 원씩 지원하기로 했다. 또 공공 체육시설 운영 중단으로 근로를 제공하지 못해 생계유지가 어려운 비정규직들에게 생계비 150만 원씩 지원한다.
시는 이 밖에도 코로나19로 큰 피해를 입은 시설과 업소·단체들에도 지원금을 준다. 108개 실내 집단운동 체육시설(줌바, 태보, 스피닝, 에어로빅, 댄스 스포츠 등)과 20개 풋살장, 문화예술 공연·행사 관련 업체, 전문 뷔페업소 등에 대해서는 1곳당 100만 원, 여행업체 434여 곳에 대해서는 1곳당 150만 원을 지원한다.
이 시장은 “지금까지 12차례에 걸쳐 2416억 원의 지원금을 지급하는 민생안정대책을 추진했으나 코로나19로 인한 고통과 어려움을 해소하고 지역경제를 정상화하기에는 부족하다”며 “앞으로도 어려움이 큰 분야에 대한 지원 방안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정우천 기자
시는 우선 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생계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초생활수급자와 법정 차상위 중 생계급여 등을 지원받지 않고 있는 3만1500여 가구에 각각 20만 원을 지원한다. 별도의 신청 절차 없이 설 명절 전까지 해당 가구에 선불형 광주상생카드로 지급할 계획이다.
시는 집합금지 행정조치가 2차례 내려졌던 관내 유흥업소(유흥주점, 콜라텍, 단란주점, 감성주점, 홀덤펍) 1192곳에 한 곳당 150만 원씩 지원한다. 관내 종교시설 2100 곳에는 방역 물품구입비로 30만 원씩 지원한다. 유흥업소와 종교시설 모두 행정명령을 위반한 경우 지급 대상에서 제외된다.
시는 행사·관광을 주로 하는 전세버스 운송업체 25곳에는 150만 원씩 지원한다. 또 그동안 지원에서 제외된 전세버스 운수종사자, 어린이집 휴원으로 운행을 멈췄던 어린이집 통합 버스 기사, 코로나19로 매출이 감소한 택시법인에 소속된 법인택시 기사 등 총 3000명 내외에 대해 1인당 50만 원을 지원한다.
시는 이와 함께 대중적 집합활동이 제한되면서 생계유지가 어려운 문화예술 활동가 2000여 명에 대해서도 긴급생활안정자금으로 30만 원씩 지원하기로 했다. 또 공공 체육시설 운영 중단으로 근로를 제공하지 못해 생계유지가 어려운 비정규직들에게 생계비 150만 원씩 지원한다.
시는 이 밖에도 코로나19로 큰 피해를 입은 시설과 업소·단체들에도 지원금을 준다. 108개 실내 집단운동 체육시설(줌바, 태보, 스피닝, 에어로빅, 댄스 스포츠 등)과 20개 풋살장, 문화예술 공연·행사 관련 업체, 전문 뷔페업소 등에 대해서는 1곳당 100만 원, 여행업체 434여 곳에 대해서는 1곳당 150만 원을 지원한다.
이 시장은 “지금까지 12차례에 걸쳐 2416억 원의 지원금을 지급하는 민생안정대책을 추진했으나 코로나19로 인한 고통과 어려움을 해소하고 지역경제를 정상화하기에는 부족하다”며 “앞으로도 어려움이 큰 분야에 대한 지원 방안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정우천 기자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