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수원·동서발전·가스공사
2018 남북회담후 문건 작성
김정은 신년사와 연관 의혹도


2018년 4·27 판문점 남북 정상회담 이후 산업통상자원부가 북한 원전 건설 지원 추진 방안을 검토하는 문건을 작성할 당시 에너지 공기업들도 대북 에너지 협력 계획 방안을 집중적으로 마련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등 야당에서는 이들 공기업이 문건에서 추진한 방향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당해 신년사에서 언급한 내용이 연관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며 국정조사 필요성을 제기하고 나섰다.

윤한홍 국민의힘 의원실이 입수한 한국수력원자력·한국동서발전·한국가스공사 문건에 따르면, 이들 발전공기업은 2018년 남북 정상회담 후 이듬해까지 북한과 에너지 협력 방안 등을 담은 문건을 잇달아 작성했다. 한수원의 ‘전력 분야 현황 및 발전설비 실태조사 연구’(2019년)와 가스공사의 ‘북한의 에너지 현황 및 천연가스사업 협력방안 연구’(2018년 ) 보고서 등이다.

특히 이들의 협력방안은 김 위원장이 신년사에서 강조했던 내용과 상당히 맞닿아 있었다. 한수원 보고서에서는 “마을 단위 소수력 사업은 (중략) 에너지자립형 신재생 마이크로그리드 사업 일환으로 추진될 수 있을 것” 등의 내용이 나온다. 김 위원장이 2018년 신년사에서 “전력공업 부문에서 자립적 동력 기지를 정비 보강해야 한다”며 강조했던 부분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김 위원장이 함께 짚었던 ‘화력에 의한 전력생산 증강’ 방안도 한국동서발전 문건에 들어 있었다.

한수원은 김 위원장이 2019년 신년사에서 언급한 ‘단천 발전소 건설과업’도 분석한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어랑천 발전소와 단천 발전소를 비롯한 수력발전소 건설을 다그친다”고 했는데, 보고서에서는 이에 대해 “단천 발전소 건설이 계획대로 진행될 경우 함경남북도 동해안 일대의 전력공급 여건이 개선돼, (중략) 긍정적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된다”고 분석했다. 또 가스공사는 평양 주택의 가스공급 여건도 검토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한수원은 “남북 경협을 가정했을 때 국내 기업들의 안정적 정착을 위해 전력 인프라 구축이 선행돼야 한다”며 “노후화된 북한 수력발전소의 현대화 작업 등이 효율적이고 현실적 대안이라고 판단돼 연구용역 등을 통해 정보파악 및 조사를 실시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김현아 기자 kimhaha@munhwa.com
김현아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