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항버스는 673억 보상 호소
시내버스 ‘준공영제’란 이유로
코로나 지원 대상 논의서 제외
마을버스는 운행횟수 30% 줄여
업체 “수억 빚으로 연명” 피눈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 조치에 따른 손실 보상 대상에 서울 시내버스 업계를 포함해야 하며, 총 2369억 원을 보상해 달라고 서울시가 국회와 정부에 건의했다. 이는 지난해 서울시 버스 업계가 전년과 대비해 입은 손실 규모의 절반에 해당하는 액수다. 서울시는 업계와 협력해 국회와 정부에 고사 위기에 놓인 업계 사정을 알리고, 이는 결국 시민들의 불편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호소할 예정이다.
26일 서울시가 추정한 버스 업계의 손실 보상액은 시내버스 1379억 원, 마을버스 317억 원, 공항버스 673억 원이다. 이 액수는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안(案) 등이 일반 업종에 대한 손실 보상 규모를 매출 손실액의 50%로 보고 있다는 점에 근거해 추산됐다. 실제로 지난해 버스 업계는 전년 대비 시내버스 2758억 원, 마을버스 635억 원, 공항버스 1346억 원의 매출 감소를 겪었다.
앞서 서울시는 손실 보상 요구를 위한 1차 작업으로 지난 10일 보도자료를 통해 고사 위기에 몰린 버스 업계 현황에 대해 공유한 바 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버스 승객 수는 전체적으로 전년 대비 24.1%(4억6342만 명) 감소했으며, 운송 수입도 29.1%(4738억 원) 줄었다. 특히 공항버스는 지난해 총 수송 인원이 전년 대비 15% 수준인 212만 명에 그쳤다.
가장 적극적으로 고통을 호소하고 있는 곳은 마을버스 업계다. 현재 서울 마을버스는 전체 249개 노선 중 175개(70%)의 운행 횟수를 평균 17%, 최대 30%까지 줄인 상황이다. 서울시에서 마을버스를 운영하는 일부 업체 대표들은 시청 서소문청사 앞에서 1인 릴레이 시위를 벌이고 있다. 이들은 “업체별로 수억 원의 빚더미에 올라앉았고 당장 경비가 부족해 운행 중단 위기에 놓여 있다”고 호소하고 있다.
마을버스 업계 사정은 지역마다 제각각이다. 실제로 부산은 지난 1월 마을버스 업체 54곳에 재정보조를 시작했다. 같은 달 성남시도 시내버스·마을버스 종사자에게 ‘성남형 3차 연대안전기금’을 지원했다. 서울시 내에서도 자치구마다 업체 상황이 다르다. 강동구, 강남구 등은 자체적으로 마을버스에 재정 지원을 한 상태다. 업계는 “형평성을 위해서라도 마을버스 업계에 대한 긴급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시내버스는 출혈이 심각한데도 준공영제라는 이유로 지원 대상 논의에서 소외되고 있다.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 관계자는 “올해 코로나19 상황이 지속된다면 적자가 80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준공영제를 시행하는 타 시·도 업계와 공동으로 성명서를 내는 방안을 논의하기도 했다”고 밝혔다.
한편, 서울 지하철을 운영하는 교통공사도 올해 적자가 1조6000억 원대에 이를 것으로 파악됐다.
글·사진=권승현 기자 ktop@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