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여성경제참가율’ 분석

한국 여성경제참가율 60% 그쳐
2080년 노인부양률 OECD 1위


초고령사회를 눈앞에 둔 우리나라가 출산율을 높이고 노인부양률을 낮추기 위해서는 여성의 경제활동 확대가 절실하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8일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2080년 예상 노인부양률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보다 낮은 23개국의 여성 경제활동참가율을 비교·분석한 결과, 여성 경제활동 참가가 활발한 나라의 노인부양률이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고 밝혔다. 여성 경제활동참가율은 만15∼65세 여성인구 중 경제활동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을 뜻한다. 노인부양률은 20∼64세 생산가능인구 100명이 부양해야 하는 노인 수를 말한다.

조사 결과, 2080년 예상 노인부양률이 OECD 평균(60.8명)보다 낮은 23개 국가 중 20개국의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 평균은 70.1%로, 모두 OECD 평균(2019년 기준, 65.1%)을 웃돌았다. 전경련은 여성의 경제활동이 노인부양률에 일정한 역할을 한 데 따른 영향으로 분석했다. 반면 우리나라의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은 이들 23개국 평균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에 한참 못 미치는 60.0%에 그쳤다.

전경련은 “영국과 독일, 스웨덴 등 여성의 경제활동이 활발한 국가들의 경우 여성 경제활동 증가 초반에는 출산율이 하락했으나, 이후 근무 여건 등이 안정되면서 출산율이 다시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빠른 고령화 속도를 보이는 한국의 경우 여성 경제활동과 노인부양률은 큰 함의를 지닌다고 전경련은 강조했다. 우리나라는 2080년 노인부양률이 94.6명으로, OECD 1위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나라의 연령대별 여성 경제활동참가율을 보면 취업·구직 활동이 가장 활발한 25∼34세 구간이 71.8%로 높았으나, 35∼44세 구간에서는 9%포인트 하락했다.

임대환 기자 hwan91@munhwa.com
임대환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