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자가진단키트 우려
“10만명이 자가진단 검사하면
환자 200명중 100명은 놓쳐”


오세훈 서울시장이 이른바 ‘서울형 상생방역’이라며 자가진단 키트를 활용해 유흥업소 등 다중이용시설 영업시간 제한을 완화하려는 구상을 꺼내 든 것에 대해 전문가들 사이에서 신중론이 제기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가 증가하며 4차 대유행 국면에 진입한 시점에서 방역 완화에 나서면 서울시가 방역책임의 ‘독박’을 쓸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서울시는 14일 유흥시설 영업시간 연장 여부를 확정하지 않았으며 확정 전에 정부와 협의할 것이라고 재차 밝혔다. 시는 “집단감염 추이, 백신 접종률 등을 고려해 시기와 방법을 충분히 검토하고 지속해서 의견을 수렴해 조정된 수칙 안을 마련할 것”이라며 “경기·인천과의 형평성을 포함하고 중앙사고수습본부 등과 최종 협의해 결정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우려의 목소리를 나타냈다. 백경란 대한감염학회 이사장은 “신속항원검사키트의 민감도를 50%, 특이도를 99%로 가정해 국내 유병률 0.2% 상황에서 10만 명을 검사하면 환자 200명 중 100명을 ‘위음성(가짜 음성)’으로 놓친다”며 “이보다 낮은 민감도에서는 위음성이 증가한다”고 지적했다. 엄중식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 역시 “실제 현장에서 도움이 되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이날 리얼미터가 ‘오마이뉴스’ 의뢰로 성인 5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서울형 상생방역’ 평가에 따르면 방역 측면에서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응답이 51.4%로, 도움이 될 것이라는 응답 41.8%보다 많았다.

송유근·김구철 기자

관련기사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