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대란으로 문재인 정부가 자랑해 온 ‘K-방역’ 평가가 뒤집혔다. 정부의 코로나19 대응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응답이 1년 2개월 만에 긍정 평가를 넘어섰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23일 나왔다. 부정 평가자들의 절반은 ‘백신 수급 문제’를 지적했다.
한국갤럽이 지난 20∼22일 코로나19 정부 대응에 대한 평가를 조사한 결과(95% 신뢰 수준에 표본오차는 ±3.1%포인트) 응답자의 49%가 ‘잘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잘하고 있다’는 응답은 43%였다.
부정평가는 3월 조사 당시 29%에서 20%포인트 급등했다.
반면 긍정평가는 60%에서 17%포인트 하락했다. 코로나19 정부 대응에 대한 긍정·부정률이 역전한 것은 대구 집단감염 발생 직후인 지난해 2월(긍정률 41%·부정률 51%) 이후 1년 2개월 만이다.
정부 대응에 대한 부정평가자들은 그 이유로 ‘백신 확보 및 공급 문제’(55%)를 가장 많이 꼽았다. 백신 수급 문제에 대한 지적은 지난달 33%에서 22%포인트 늘어났다. 정부 대응 긍정평가는 일일 확진자 수가 한 자릿수까지 내려갔던 지난해 5월 85%까지 치솟았다가 백신 수급 불안이 고조되면서 큰 폭으로 내려앉았다.
문재인 대통령 직무수행을 부정 평가한 응답자들도 ‘코로나19 대처 미흡’(17%)을 ‘부동산 정책’(28%)에 이어 주요 이유로 지적했다. 문 대통령 직무수행 긍정평가는 직전 조사(4월 3주)보다 1%포인트 오른 31%, 부정평가는 2%포인트 떨어져 60%였다.
김윤희 기자 worm@munhwa.com
주요뉴스
이슈NOW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