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공직기강 협의체 열어
부동산 등 집중감찰 나서
고리1호기는 연내해체 착수


문재인 대통령이 4·7 재·보궐선거 참패 이후 집권 후반기 마무리 전략 가동에 나선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인사 스타일을 확 바꾼 4·16 개각 및 청와대 개편을 시작으로 문 대통령의 ‘통치 스타일’이 변했다는 평가가 여권에서 나오는 가운데, 청와대는 공직 기강 다잡기에 나섰다. 고리1호기 해체 등 정책 ‘못 박기’ 작업에도 착수하는 모양새다. 단 5월 초 출범하는 더불어민주당 지도부와의 당·청 관계가 변수가 될 전망이다.

여권 관계자는 23일 문화일보와의 통화에서 전날 청와대 민정수석실 주도로 열린 ‘공직기강 협의체’를 두고 “본격적인 집권 후반기 국면에서 공직 기강 다잡기에 나서는 모양새”라고 설명했다. 반부패비서관 주관으로 열린 회의에서 청와대와 국무총리실, 감사원, 국민권익위원회는 중앙부처 및 지자체 공무원들은 물론 전국의 공공기관 임직원들의 직권을 남용한 인사 및 이권개입 행위에 대해 집중감찰을 실시하기로 결정했다. 부동산 비리 등이 집중적으로 감찰 대상이 될 전망이다. 문재인 정부 임기 동안 공직 사회 비리 위주로 적발할 가능성이 큰 감찰에 착수하는 것은 집권 후반기 공직 사회의 일탈을 막으려는 의도가 깔린 것으로 풀이된다. 문 대통령이 전효관 청와대 문화비서관의 일감 몰아주기 의혹에 대해 자체 감찰을 지시한 것도 그간 스타일에 비해 빠르고 단호한 지시라는 평이다.

김부겸 국무총리 후보자, 이철희 청와대 정무수석 등 여권 내 비주류 인사를 중용한 인사에 이어 주요 국정 과제에 대한 점검에도 돌입했다. 부동산 정책은 기조는 유지하되 보완해야 한다는 데 당·정·청의 의견이 모인 상태다. 고리1호기 해체 수순에 들어가는 등 탈원전 정책에 ‘쐐기’를 박으려는 시도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민병기 기자 mingming@munhwa.com
민병기

기사 추천

  • 추천해요 0
  • 좋아요 0
  • 감동이에요 0
  • 화나요 0
  • 슬퍼요 0